6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는 YTN 주식 매각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여당은 YTN의 대주주인 우리은행이 YTN 보유지분을 매각한 시점의 적절성과 사전 모의 여부를 집중 부각시킨 반면 여당과 우리은행은 합법적인 차익실현에 나선 것이라고 맞섰다.

서갑원(민주당) 의원은 "YTN 지분 매각과 관련한 신재민 문화 차관의 서면답변이 명확지 않다"며 "2만주 매각 사실을 어디에서 누구와의 회의에서 들었는지 소상히 밝혀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신 차관은 "중요한 사실이라면 기억하겠는데, 지나가면서 얼핏 들어 잘 기억이 나질 않는다"고 답변했다.

대주주인 우리은행과 정부 간의 지분 매각 사전 협의 여부에 대해서도 질의가 집중됐다.

서 의원과 최문순(민주당)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한 이종휘 우리은행장에게 YTN 보유지분 매각에 대해 정부와 사전 협의를 한 적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캐묻자 이 은행장은 "사전 협의는 없었으며, 차익실현을 위해 담당부서에서 독자적으로 매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차관은 "사전에 우리은행의 YTN 지분매각 사실을 어떻게 알게 됐는냐"며 집중 추궁하는 최 의원의 질의에 "공시는 일정지분 이상을 매각할 때 우리은행이 하는 것이고 증권사 영업장에 나가면 아무나 알 수 있다"고 반박했다.

강승규(한나라당) 의원은 "YTN 관련 주식 거래 일일동향은 증권 관련 검색 사이트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사안"이라면서 "주식시장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면 우리은행이 YTN 대주주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과 주식거래 동향을 쉽게 알 수 있는 만큼 지분매각 사실은 대단한 비밀이 아니다"라고 신 차관의 발언을 옹호했다.

전병헌(민주당) 의원은 "우리은행의 2008년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전체 81개 국내 출자법인 중 YTN을 포함해 단 3개 법인만 매각했다"면서 "우리은행의 YTN 지분 매각 시작일이 8월14일인 이유는 상반기 보고서에 지분 변동 기재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은행장은 "사실이 아니다"며 "매각과 상반기 결산보고서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해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