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식·정혜승 교수팀, 당뇨병 발병 새 메커니즘 찾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포 내 소기관이 스스로 죽고 재생하는 '자가포식(Autophagy)'이란 세포 사멸 메커니즘이 당뇨병 발병과 관련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이명식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교수와 정혜승 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이 세포의 '자가포식' 메커니즘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의 구조 및 기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7일 발표했다. 당뇨병 연구의 권위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8일자에 게재된 이 연구결과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포식이란 세포 전체가 죽는 세포자연사나 괴사와는 달리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이 사멸 또는 재생하는 과정으로,자가포식은 이를 통해 세포 전체의 사멸을 예방하거나 유도하기도 한다.
자가포식은 최근 연구에서 암과 퇴행성 신경질환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당뇨병이나 내분비대사 질환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거의 알려진 것이 없었다.
이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췌장 베타세포에서 자가포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제거한 녹아웃(knockout) 생쥐를 만들어 자가포식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자가포식 기능이 억제된 마우스의 췌장 베타세포에서는 세포 내 소기관의 변화로 인해 베타세포의 정상적 재생이 이뤄지지 않고 쉽게 사멸해 베타세포 양이 감소하며 인슐린 분비가 저하되면서 혈당이 상승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이명식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교수와 정혜승 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이 세포의 '자가포식' 메커니즘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의 구조 및 기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7일 발표했다. 당뇨병 연구의 권위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8일자에 게재된 이 연구결과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가포식이란 세포 전체가 죽는 세포자연사나 괴사와는 달리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이 사멸 또는 재생하는 과정으로,자가포식은 이를 통해 세포 전체의 사멸을 예방하거나 유도하기도 한다.
자가포식은 최근 연구에서 암과 퇴행성 신경질환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당뇨병이나 내분비대사 질환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거의 알려진 것이 없었다.
이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췌장 베타세포에서 자가포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제거한 녹아웃(knockout) 생쥐를 만들어 자가포식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자가포식 기능이 억제된 마우스의 췌장 베타세포에서는 세포 내 소기관의 변화로 인해 베타세포의 정상적 재생이 이뤄지지 않고 쉽게 사멸해 베타세포 양이 감소하며 인슐린 분비가 저하되면서 혈당이 상승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