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부터 잇달아 열리고 있는 대규모 국제회의에 세계인의 눈이 쏠려 있다. 갈수록 심각한 양상을 보이는 국제금융위기를 해결할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느냐 여부를 판가름할 분수령(分水嶺)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이다.

워싱턴에선 10일 선진7개국(G7)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열린 데 이어 11일엔 한국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가들까지 참여한 G20 회의가 개최됐다. 또 12일엔 파리에서 유로존 정상회의가,13일에는 국제통화기금(IMF)ㆍ세계은행(WB) 연차총회가 워싱턴에서 각각 열린다. 이들 회의가 모두 당면한 국제금융위기를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일부 성과도 나오고 있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G7회의 직후 "금융위기 해소를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G20회의 역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경제적,재정적 수단을 사용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IMF는 "금융위기 국가에 자금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물론 국제공조체제 구축이 순조롭지만은 않을 것이다. 우선 G7과 G20회의의 성명은 원칙적 부분엔 공감대를 이뤘지만 아직 구체적 액션플랜엔 합의하지 못한 상태다. 특히 주요국들의 이해가 엇갈리며 우선 나부터 살고보자는 식의 행태가 만연해 있어 공동대응체제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금융위기의 심각성을 감안하면 다소 시간이 걸린다 하더라도 결국엔 합의를 이뤄낼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도 이런 국제공조체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요국들과 함께 보조를 맞추며 금융위기에 공동 대처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신뢰회복 및 투자자들의 불안심리 해소에 큰 기여를 할 게 분명하다. 세계적 차원에서의 정책공조와는 별도로 특정국들과의 상호협력에도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원화가치가 급락(急落)하는 등 외환시장 혼란까지 겹친 상황이고 보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및 IMF와의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이나, 한ㆍ중ㆍ일 공동기금조성 등은 금융위기 해소를 위해 적극 추진돼야 할 사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