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이 항만 배후지의 부족으로 자유무역지역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부두의 경우 물류 및 보세가공업체 등 외국투자기업을 유치할 부지가 없기 때문이다. 이름만 자유무역지대인 셈이다.

정부는 2002년 인천 내항부두(1∼8부두ㆍ170만㎡)를 비롯 4부두 배후지 46만7000㎡,남항 컨테이너터미널 1단계부두 12만7000㎡에 이어 지난달 4일 인천컨테이너터미널 2단계 부두 11만1000㎡ 등 총 240만㎡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인천항은 부산항 및 광양항만과 달리 항만 배후지 등이 턱없이 부족해 단순 하역ㆍ보관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기 전부터 부두와 배후지가 이미 야적장과 보세창고 등으로 꽉 차 있어 조립가공 공장 등을 세울 땅이 거의 없다. 특히 4부두 배후지는 총 46만7000㎡.이 가운데 87%인 40만6290㎡가 사유지여서 임대료가 부산항 등 다른 항만에 비해 비싸 국내외 기업들이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있다.

부산신항 배후지의 월간 임대료는 외국투자기업의 경우 ㎡당 40원,국내기업은 최고 260원인 데 비해 인천항의 배후지(사유지)는 ㎡당 2500원 수준으로 인천항 배후지가 부산항에 비해 임대료가 턱없이 높은 셈이다. 게다가 부산항의 경우 기존 항만은 배후지가 부족해 2006년 부산신항을 건설하면서 항만 배후지 총 36만4271㎡를 공용부지로 확보해 싼 임대료를 무기로 이미 22개 외국투자기업을 유치하기도 했다.

이에 반해 인천항만공사는 최근 남항 아암도에 물류단지 1단계 100만㎡를 매립하고 2단계 263만㎡를 내년 완공 목표로 매립 중이지만 항만 배후지론 충분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아직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도 안 된 상태다.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 진형인 교수는 "인천항이 자유무역지역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배후부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신항의 조기 건설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