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위한 실탄 확보 주력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5일 동양종금증권은 신용 리스크가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수익 확대보다 생존에 중점을 둔 투자전략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도한 연구원은 "달러의 무제한 공급이나 이를 통한 시장의 급반등을 폄하할 필요는 없지만, 금융기관 간의 신용리스크는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재차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급등락이 재현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구제금융책이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우선 구체적인 방향이 여전히 정해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어떤 금융기관이 수혜를 받거나 도태될지 불분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정부가 부실채권을 인수해도 주택가격 하락이 지속될 경우 부실채권이 얼마나 더 확대될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 모기지 시장 연체율은 2분기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적어도 올해 동안은 이같은 연체율 상승 추세가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며 "구제금융을 받은 기관도 재차 부실화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금융기관간의 상호 불신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급반등할 때마다 실탄을 모아두는 자세가 필요하며, 미국의 은행들이 곳간에 쌓아두고 있는 유동성을 서로에게 융통할 때 준비해 둔 실탄을 사용하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원은 "실현 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영국 및 미국 정부가 검토 중으로 알려진 부실은행의 국유화가 그 타이밍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이도한 연구원은 "달러의 무제한 공급이나 이를 통한 시장의 급반등을 폄하할 필요는 없지만, 금융기관 간의 신용리스크는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재차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급등락이 재현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구제금융책이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우선 구체적인 방향이 여전히 정해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어떤 금융기관이 수혜를 받거나 도태될지 불분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정부가 부실채권을 인수해도 주택가격 하락이 지속될 경우 부실채권이 얼마나 더 확대될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 모기지 시장 연체율은 2분기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적어도 올해 동안은 이같은 연체율 상승 추세가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며 "구제금융을 받은 기관도 재차 부실화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금융기관간의 상호 불신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급반등할 때마다 실탄을 모아두는 자세가 필요하며, 미국의 은행들이 곳간에 쌓아두고 있는 유동성을 서로에게 융통할 때 준비해 둔 실탄을 사용하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원은 "실현 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영국 및 미국 정부가 검토 중으로 알려진 부실은행의 국유화가 그 타이밍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