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금융위기가 빠르면 이달 말부터 진정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5일 '글로벌 금융위기의 향방' 보고서를 통해 "세계 금융위기는 주요 국가의 금융위기 해결을 위한 정책공조 강화와 함께 구제금융이 본격 투입되는 10월말∼11월초부터는 최악의 위기국면이 진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부실자산의 정리로 금융기관의 파산위험성이 감소됨으로써 가장 큰 불확실성이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면서 "구제금융은 부실자산 매입과 함께 자본확충을 병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미국 뿐 아니라 유럽 주요국들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국제공조를 강화하고 있는 것도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어 "금융위기 극복의 관건은 신뢰회복"이라면서 "유동성위기-신용위기-신뢰위기로 금융혼란이 증폭되는 악순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는 유동성 위기나 신용 위기의 단계를 넘어 총체적인 '신뢰의 위기'로 전이된 상태"라면서 "각국 정부의 구제금융에 대한 의지와 효과적 글로벌 정책공조가 대형 금융기관의 생존 가능성과 금융위기의 향방을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미국의 구제금융 규모는 금융권 부실을 해소하기에 충분하다"면서 "유럽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도 대규모 유동성 투입과 함께 부실금융기관에 대한 구제금융지원에 착수한 만큼 금융위기는 조만간 진정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신뢰 위기의 악순환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전개될 확률은 30%정도로 낮지만 이에 대한 대비는 필요하다"면서 "최악의 경우 한시적으로 세이프가드를 발동해 자본통제를 실시하는 것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면서 투기 등 외환시장의 왜곡을 초래하는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기업 및 금융기관의 외환 수요와 공급을 원인별로 분석해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