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美금리 추가인하 시사..."공격적 조치 계속 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이 15일 추가 금리인하를 시사했다고 CNBC 방송이 보도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뉴욕의 이코노믹클럽에서 가진 연설에서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위기가 이미 둔화되고 있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공격적인 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의 기능과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계속 사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버냉키 의장은 지난 7일 미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된 반면 경기하강위험은 훨씬 높아졌다면서 금리인하를 강력히 시사한 하루 뒤인 8일 유럽중앙은행(ECB)과 중국 인민은행 등 다른 6개국 중앙은행과 함께 금리인하를 단행한 적이 있다.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미국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9000선 밑으로 떨어졌다. 9000선을 회복한 지 이틀 만이다. 이날 증시는 9월 소매판매 감소와 JP모건의 실적악화 소식 등이 겹치면서 개장 30분 만에 전날보다 3% 이상 하락하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의 9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1.2% 감소하면서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기록,소비위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감을 확산시켰다. JP모건은 이날 3분기 순이익이 5억2700만달러(주당 11센트)로 작년 동기에 비해 84% 감소했다고 밝혔다. 36억달러의 자산상각과 워싱턴뮤추얼 인수에 따른 6억4000만달러의 손실이 반영된 결과다.
유럽증시는 다우지수 9000선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을 확대해 폭락세로 마감했다. 이날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의 핵심지수 FTSE100은 7.16% 하락한 4079.59로 마감했으며 프랑스 파리증권거래소의 CAC40 주가지수는 6.82% 하락한 3381.07로 장을 마쳤다. 또 독일 프랑크푸르트증권거래소의 DAX 주가지수는 6.49% 떨어진 4861.63으로 마감, 하루 만에 다시 5000 밑으로 주저앉았다.
금융위기는 한풀 꺾였지만 실물경제의 침체 분위기가 역력한 데다 각국의 금융안정책이 결국은 납세자 부담으로 돌아와 소비가 위축되는 등 불황의 '악순환'이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급속히 확산됐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버냉키 의장은 이날 뉴욕의 이코노믹클럽에서 가진 연설에서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위기가 이미 둔화되고 있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공격적인 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의 기능과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계속 사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버냉키 의장은 지난 7일 미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된 반면 경기하강위험은 훨씬 높아졌다면서 금리인하를 강력히 시사한 하루 뒤인 8일 유럽중앙은행(ECB)과 중국 인민은행 등 다른 6개국 중앙은행과 함께 금리인하를 단행한 적이 있다.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미국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9000선 밑으로 떨어졌다. 9000선을 회복한 지 이틀 만이다. 이날 증시는 9월 소매판매 감소와 JP모건의 실적악화 소식 등이 겹치면서 개장 30분 만에 전날보다 3% 이상 하락하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의 9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1.2% 감소하면서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기록,소비위축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감을 확산시켰다. JP모건은 이날 3분기 순이익이 5억2700만달러(주당 11센트)로 작년 동기에 비해 84% 감소했다고 밝혔다. 36억달러의 자산상각과 워싱턴뮤추얼 인수에 따른 6억4000만달러의 손실이 반영된 결과다.
유럽증시는 다우지수 9000선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을 확대해 폭락세로 마감했다. 이날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의 핵심지수 FTSE100은 7.16% 하락한 4079.59로 마감했으며 프랑스 파리증권거래소의 CAC40 주가지수는 6.82% 하락한 3381.07로 장을 마쳤다. 또 독일 프랑크푸르트증권거래소의 DAX 주가지수는 6.49% 떨어진 4861.63으로 마감, 하루 만에 다시 5000 밑으로 주저앉았다.
금융위기는 한풀 꺾였지만 실물경제의 침체 분위기가 역력한 데다 각국의 금융안정책이 결국은 납세자 부담으로 돌아와 소비가 위축되는 등 불황의 '악순환'이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급속히 확산됐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