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증권 노사, 계열사 지원 "한푼도 안된다"vs"법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증권 노사, 계열사 지원 "한푼도 안된다"vs"법대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현대증권 사내이사 취임을 계기로 계열사 간 자금지원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노조 측은 부실 계열사 지원은 동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전에 선긋기에 나선 상태고, 사측은 공식적으로 요구받은 사실이 없고 설령 제의가 오더라도 법대로 하면 된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증권 노조는 16일 현정은 회장의 비상근 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상정된 임시주주총회에서 현대아산을 위해 2500억원의 계열사 지원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경윤 노조위원장은 "그룹 차원에서 어려움에 처한 현대아산을 돕기 위해 다른 계열사들에게 2500억원의 대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중 현대증권은 1000억-1500억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요청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 위원장은 "현대건설 부도 당시에도 그룹 지시로 현대증권이 부도 3일전에 부동산을 사주고 채권을 매입했다 손실처리했던 경험이 있다"면서 "현재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해 놓은 5000억원 중에서 1000억원을 현대아산에 쏟아붓겠다는 것은 요즘같이 유동성을 확보해야 하는 금융위기 상황에서는 더더욱 안되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노조 측은 또 "법대로 한다지만 만약 현대아산에 편법으로라도 대출이 이뤄진다면 현대증권 주주가치 훼손은 물론 계열사 간 동반부실도 초래될 게 뻔하다"면서 "사측은 이러한 그룹의 요구가 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할 지 분명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최경수 현대증권 사장은 "증권거래법 등 관련 법령상 계열사간 우회지원도 할 수없게 돼 있다"면서 "현재까지 지원요구가 있지도 않았지만 실제 그렇더라도 법대로 하면 된다"고 잘라 말했다.
최 사장은 또 "현재까지 개성관광객이 10만명을 넘어섰다는 보도도 있었다"면서 "현대아산이 쉽게 쓰러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정은 회장은 이날 주총 직후 열린 이사회에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이로써 현 회장은 현대그룹 전 계열사의 이사진에 등재돼 그룹 지배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노조는 지배구조 개선과 계열사 편법 지원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할 태세여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노조 측은 부실 계열사 지원은 동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전에 선긋기에 나선 상태고, 사측은 공식적으로 요구받은 사실이 없고 설령 제의가 오더라도 법대로 하면 된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증권 노조는 16일 현정은 회장의 비상근 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상정된 임시주주총회에서 현대아산을 위해 2500억원의 계열사 지원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경윤 노조위원장은 "그룹 차원에서 어려움에 처한 현대아산을 돕기 위해 다른 계열사들에게 2500억원의 대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중 현대증권은 1000억-1500억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요청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 위원장은 "현대건설 부도 당시에도 그룹 지시로 현대증권이 부도 3일전에 부동산을 사주고 채권을 매입했다 손실처리했던 경험이 있다"면서 "현재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해 놓은 5000억원 중에서 1000억원을 현대아산에 쏟아붓겠다는 것은 요즘같이 유동성을 확보해야 하는 금융위기 상황에서는 더더욱 안되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노조 측은 또 "법대로 한다지만 만약 현대아산에 편법으로라도 대출이 이뤄진다면 현대증권 주주가치 훼손은 물론 계열사 간 동반부실도 초래될 게 뻔하다"면서 "사측은 이러한 그룹의 요구가 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할 지 분명한 답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최경수 현대증권 사장은 "증권거래법 등 관련 법령상 계열사간 우회지원도 할 수없게 돼 있다"면서 "현재까지 지원요구가 있지도 않았지만 실제 그렇더라도 법대로 하면 된다"고 잘라 말했다.
최 사장은 또 "현재까지 개성관광객이 10만명을 넘어섰다는 보도도 있었다"면서 "현대아산이 쉽게 쓰러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정은 회장은 이날 주총 직후 열린 이사회에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이로써 현 회장은 현대그룹 전 계열사의 이사진에 등재돼 그룹 지배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노조는 지배구조 개선과 계열사 편법 지원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할 태세여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