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下化대신 이전 확정^대상지역 반발이 변수
8만㎡ 부지 한강과 연계 서울의 문화중심지로

이전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었던 서울 마포구 당인리발전소의 이전이 최종 확정됐다.

주무 부처인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19일 "지하화냐 이전이냐를 두고 논란이 계속됐던 당인리발전소에 대해 이전하는 쪽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규모 발전 시설을 지하에 건설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데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 이전 쪽으로 방침을 확정했다"고 덧붙였다.

2012년이면 기능을 다하는 당인리발전소를 두고 그동안 발전 시설을 없애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자는 마포구의 의견과 시설 일부를 지하화해 전기를 계속 생산하자는 한국중부발전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 왔다.

지경부는 이에 따라 지난 8일 서울시,마포구,한국중부발전,한전 등 이해 당사자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번째 회의를 열었다. 지경부는 이날 회의에서 당인리발전소 이전 쪽으로 결론이 났음을 설명한 뒤 각 기관들이 2주 동안 적당한 이전 부지를 물색해 보고해 줄 것을 주문했다. 지경부는 오는 22일을 전후로 2차 회의를 열어 최종 부지 선정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국중부발전 관계자는 "기존 당인리발전소에서 반경 12㎞ 이내에 있는 지역으로 선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마포구청은 당인리발전소 부지 8만1000㎡를 홍익대학교 등 주변 지역과 연계해 서울의 문화 중심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당인리발전소와 주변에 문화 시설과 공원을 유치하고 명실상부한 수변 도시로 만들기 위해 당인리발전소를 한강과 바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르면 11월 중 당인리발전소와 발전소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지역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작업에 착수한다. 정부와 서울시도 이 같은 방향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이미 서울시는 한강을 서울 발전의 중심축으로 삼는 '한강 르네상스' 계획에서 당인리를 용산구 용산국제업무지구,강서구 마곡지구 등과 함께 수변 도시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해 말 대선에서 이곳을 문화창작발전소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이전 부지로 선정되는 곳의 반발이 막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