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일 펀드 장기 투자자에게 세제 혜택을 주기로 한 데 대해 전문가들은 펀드의 자금 이탈을 막아 증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소득공제 혜택이 크지 않아 펀드로 추가 자금이 유입되기엔 한계가 있으며 세제 혜택이 있는 국내 주식형 및 채권형펀드로 갈아타기 위해 해외 펀드에서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우재룡 동양종금증권 자산관리컨설팅연구소장은 "적립식펀드 가입자에게 소득공제 혜택을 주면 연간 수십만원의 절세효과가 생기고 채권형펀드 수익에 대한 비과세로 연간 1% 안팎의 추가 이익을 기대할 수 있어 장기 투자를 유도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볼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봉환 자산운용협회 부회장도 "정부가 업계의 건의를 대폭 수용했다"며 "펀드런에 대한 우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배당소득 비과세는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병훈 대우증권 펀드리서치팀장은 "주식형펀드에서 배당이익은 1∼2%에 불과하다"며 "여기에 15.4%의 세금을 면제하는 것은 금액으로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소득공제 혜택에 대해서도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있다. 진미경 하나대투증권 웰스케어센터장은 "2001년 증시부양책에서 장기증권저축 가입자에게 세액공제를 해줬던 것에 비하면 이번 소득공제 혜택은 미미한 수준이어서 추가적인 자금 유입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가 국내 펀드에 한정된 만큼 앞으로 해외 펀드에서 자금 이탈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진 센터장은 "해외에 투자됐던 자금들이 국내 펀드로 전환되는 일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소득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당수의 해외 펀드들이 정리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