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나라당이 어제 금융.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고강도 대책을 내놨다. 은행의 외화채무에 대해 정부가 3년간 지급 보증하고,한국은행과 수출입은행을 통해 300억달러를 추가 공급하며 기업은행에 정부 보유 주식 및 채권 1조원을 현물출자해 대출여력을 확충하는 것 등이 골자(骨子)다. 3년 이상 가입 주식펀드 등에 대한 세제 혜택도 포함됐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혼란에 빠진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만하다.

이번 대책이 외화 및 원화 유동성 해소,중기 지원,증시 안정 등을 위한 종합 처방으로 정책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특히 은행 외화채무의 정부 보증은 달러부족이 시장 불안의 핵심 요인이고,이미 미국과 유럽 등 각국이 그런 조치에 들어갔음을 감안할 때 국내 은행이 외국금융회사로부터 역차별을 받지 않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이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 혼란이 어느 정도 진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본질적으로 이번 위기가 국제 금융시장 경색에서 비롯된데다 실물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장 시급한 것은 외화 및 원화 유동성 지원에 초점을 맞춘 이번 대책이 신속하고 과감하게 실행됨으로써 실물경제에의 파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은행이나 기업들의 사정이 당장 급한 실정이고 보면 하루라도 빨리 이들의 숨통을 터줘야 유동성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다시 이런 저런 절차를 이유로 머뭇거리다가는 정책의 약발이 발휘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를 위한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

금융시장 안정과 실물경제의 침체 방지를 위한 추가 대책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얼마나 더 지속되느냐에 따라 국내 상황도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사태 전개에 따라 정부가 모든 정책 수단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주도면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번 주에 나올 건설업 지원 등 실물경기 대책도 그런 점에서 경기를 부양시킬 수 있는 보다 과감하고 충분한 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대응책이 효과적인 돌파구(突破口)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