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지 30%로 축소 … 산업ㆍ관광 중심지로 육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만금 간척지의 농지 비율을 종전 72%에서 30%로 줄이는 대신 산업ㆍ관광ㆍ신재생에너지 등 복합용지 비율을 대폭 늘리는 정부 개발계획안이 최종 확정됐다.
정부는 21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만금 내부 토지개발 기본구상 변경안'을 확정지었다.
이번 안은 국토연구원 농어촌연구원 등 5개 연구기관이 지난달 4일 발표한 잠정안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정부는 최종안을 확정지음에 따라 올 연말께 국무총리실 산하에 '새만금위원회'를 구성한 뒤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 개발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변경안에 따르면 정부는 새만금 간척지를 농지 확보 위주로 개발한다는 지난해 4월 참여정부가 내놨던 개발계획을 대폭 수정해 새만금 지역을 녹색성장과 산업ㆍ관광의 중심지로 육성,'한국의 두바이'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개발계획에 총 18조9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국비 7조8000억원,지방비 5000억원,민간자본 10조6000억원 등으로 조달할 방침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정부는 21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만금 내부 토지개발 기본구상 변경안'을 확정지었다.
이번 안은 국토연구원 농어촌연구원 등 5개 연구기관이 지난달 4일 발표한 잠정안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정부는 최종안을 확정지음에 따라 올 연말께 국무총리실 산하에 '새만금위원회'를 구성한 뒤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 개발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변경안에 따르면 정부는 새만금 간척지를 농지 확보 위주로 개발한다는 지난해 4월 참여정부가 내놨던 개발계획을 대폭 수정해 새만금 지역을 녹색성장과 산업ㆍ관광의 중심지로 육성,'한국의 두바이'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개발계획에 총 18조9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국비 7조8000억원,지방비 5000억원,민간자본 10조6000억원 등으로 조달할 방침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