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담 내달 15일 워싱턴서 열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기ㆍ新브레튼우즈 논의 … 李대통령 참석할듯
조지W부시미국대통령은오는 11월15일 워싱턴에서 국제금융위기 해소와 위기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 등 G20 재무장관회의 참가국 지도자 등이 참여하는 다자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선진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을 포함해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정상들이 이번 금융위기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이들 지도자는 현재 직면한 금융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위기의 원인에 대한 이해와 위기 재발방지, 그리고 국제 금융부문의 규제체제 개혁 원칙에 대한 합의를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그러나 "이번회의에서 무엇이 나올지를 이야기 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면서 "누구나 다 똑같은 해결책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첫 금융위기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를 준비하기 위한 실무그룹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페리노 대변인은 설명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금융위기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첫 정상회의에는 미국 대통령 당선자도 참석하게 될 것이며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등도 초대됐다고 전했다. 이번 정상회담 장소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정상회담에 앞서 백악관에서 만찬이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에선 금융위기 해법 외에도 신브레튼우즈체제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신브레튼우즈체제는고든브라운 영국총리가지난13일“세계의지도자들은 60여년 전 루스벨트와 처칠이 브레튼우즈 체제를 만들었던 것처럼 국제 금융시스템을 개혁하려는 용기와 통찰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후 유럽연합(EU) 27개국 정상들이 동조하면서 힘을 얻고 있다. IMF개혁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신브레튼우즈 체제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금융감독 강화에는 찬성하지만 IMF의 틀은 유지하자는 입장이어서 타결까지는 난관이 예상된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조지W부시미국대통령은오는 11월15일 워싱턴에서 국제금융위기 해소와 위기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 등 G20 재무장관회의 참가국 지도자 등이 참여하는 다자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선진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을 포함해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정상들이 이번 금융위기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이들 지도자는 현재 직면한 금융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위기의 원인에 대한 이해와 위기 재발방지, 그리고 국제 금융부문의 규제체제 개혁 원칙에 대한 합의를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그러나 "이번회의에서 무엇이 나올지를 이야기 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면서 "누구나 다 똑같은 해결책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첫 금융위기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를 준비하기 위한 실무그룹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페리노 대변인은 설명했다.
페리노 대변인은 금융위기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첫 정상회의에는 미국 대통령 당선자도 참석하게 될 것이며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등도 초대됐다고 전했다. 이번 정상회담 장소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정상회담에 앞서 백악관에서 만찬이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에선 금융위기 해법 외에도 신브레튼우즈체제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신브레튼우즈체제는고든브라운 영국총리가지난13일“세계의지도자들은 60여년 전 루스벨트와 처칠이 브레튼우즈 체제를 만들었던 것처럼 국제 금융시스템을 개혁하려는 용기와 통찰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후 유럽연합(EU) 27개국 정상들이 동조하면서 힘을 얻고 있다. IMF개혁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신브레튼우즈 체제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금융감독 강화에는 찬성하지만 IMF의 틀은 유지하자는 입장이어서 타결까지는 난관이 예상된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