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끄는 11월 워싱턴 'G20 금융정상회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新브레튼우즈' 체제 논의할 듯
한ㆍ미, 금융위기 구제조치 주목
11월1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게 될 선진ㆍ신흥시장국 20개국(G20) 정상회의에 국내외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회의는 1999년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장 회의가 만들어진 이후 처음 열리는 정상회의인 데다 '제2의 브레튼우즈' 체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시점에서 개최돼 새로운 국제금융 질서의 전기가 마련될지 관심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금융위기 해소를 위해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와 어떤 형태의 얘기를 주고받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신(新)브레튼우즈' 체제와 관련해선 주요국 간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포괄적인 원칙 정도가 도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 등이 주장하고 있는 신브레튼우즈 체제는 1944년 이후 국제금융의 기본 틀인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중심의 브레튼우즈 체제를 현재의 상황에 맞게 개혁하자는 것이다. △국제표준의 새 회계기준 채택을 통한 투명성 확보 △국가별로 이뤄지는 현행 금융감독 체제의 개혁 △미래의 금융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국가 간 조율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새 국제금융감시기구 설치 등이 골자다. 브라운 총리는 "전 세계 상위 30개 은행을 한 규제기구의 감독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지난 18일 "민주적 자본주의의 기초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어떤 개혁도 자유시장 체제와 무역 및 투자 자유화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일정한 선을 그었다. 데이너 페리노 대변인도 22일 정상회의 개최를 발표한 직후 "금융위기 원인에 대한 이해와 위기 재발 방지,국제 금융부문의 규제체제 개혁원칙에 대한 합의를 통해 행동계획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누구나 다 똑같은 해결책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다른 회의를 열자는 수준의 합의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은 미국 입장에 동조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1일 밤 부시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자유시장 경제 원칙에 저해돼서는 안되며 보호 무역주의로 후퇴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고 이동관 대변인이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에 대해 "(15일 정상회담에) 꼭 참석해달라"면서 '굿바이 마이 프렌드'라며 친근감으로 화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의 관심은 이 대통령이 이 같은 미국과의 공조속에서 어떤 결실을 가져올지에 쏠려있다.
일부에서는 한ㆍ미 두 정상이 따로 만나 양국 간 상호 이익을 위한 모종의 조치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달러와 원화의 통화스와프를 통해 원화가치를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이끌어 내는 식이다.
이 대변인은 23일 "11월15일 정상회의에 앞서 실무적인 논의가 이뤄지게 되며 우리도 금융 당국자가 적극적으로 이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박수진 기자
comeon@hankyung.com
한ㆍ미, 금융위기 구제조치 주목
11월1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게 될 선진ㆍ신흥시장국 20개국(G20) 정상회의에 국내외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회의는 1999년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장 회의가 만들어진 이후 처음 열리는 정상회의인 데다 '제2의 브레튼우즈' 체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시점에서 개최돼 새로운 국제금융 질서의 전기가 마련될지 관심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금융위기 해소를 위해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와 어떤 형태의 얘기를 주고받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신(新)브레튼우즈' 체제와 관련해선 주요국 간 입장이 달라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포괄적인 원칙 정도가 도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 등이 주장하고 있는 신브레튼우즈 체제는 1944년 이후 국제금융의 기본 틀인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중심의 브레튼우즈 체제를 현재의 상황에 맞게 개혁하자는 것이다. △국제표준의 새 회계기준 채택을 통한 투명성 확보 △국가별로 이뤄지는 현행 금융감독 체제의 개혁 △미래의 금융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국가 간 조율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새 국제금융감시기구 설치 등이 골자다. 브라운 총리는 "전 세계 상위 30개 은행을 한 규제기구의 감독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비해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지난 18일 "민주적 자본주의의 기초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어떤 개혁도 자유시장 체제와 무역 및 투자 자유화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일정한 선을 그었다. 데이너 페리노 대변인도 22일 정상회의 개최를 발표한 직후 "금융위기 원인에 대한 이해와 위기 재발 방지,국제 금융부문의 규제체제 개혁원칙에 대한 합의를 통해 행동계획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누구나 다 똑같은 해결책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다른 회의를 열자는 수준의 합의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은 미국 입장에 동조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1일 밤 부시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자유시장 경제 원칙에 저해돼서는 안되며 보호 무역주의로 후퇴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고 이동관 대변인이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에 대해 "(15일 정상회담에) 꼭 참석해달라"면서 '굿바이 마이 프렌드'라며 친근감으로 화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의 관심은 이 대통령이 이 같은 미국과의 공조속에서 어떤 결실을 가져올지에 쏠려있다.
일부에서는 한ㆍ미 두 정상이 따로 만나 양국 간 상호 이익을 위한 모종의 조치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달러와 원화의 통화스와프를 통해 원화가치를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이끌어 내는 식이다.
이 대변인은 23일 "11월15일 정상회의에 앞서 실무적인 논의가 이뤄지게 되며 우리도 금융 당국자가 적극적으로 이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박수진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