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보도 … 정부는 강력 부인

국제통화기금(IMF)이 경상수지 적자가 크지 않은 신흥국들을 '우선 승인국'으로 지정, 보다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개발도상국용 달러화 통화스와프(교환) 창구를 이르면 다음 달 초 조기 개설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 유동성 위기에 처했으나 정책 건전성에 문제가 없고 재정 상황이 견조한 나라들을 IMF가 우선승인국으로 지정해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이들 국가가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게 되더라도 광범위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지는 않을 방침이라고 전했다. 우선승인국으로는 한국을 비롯 멕시코 브라질 그리고 일부 동유럽 국가들이 고려되고 있다고 WSJ는 밝혔다.

IMF는 또 개도국용 달러화 통화스와프 창구 개설과 관련,현재 이사회에서 구체적인 규모나 시기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달러화 통화스와프 창구가 개설되면 개도국들은 자국의 통화를 IMF에 맡기고 달러화를 가져다가 외채 상환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미국 일본 영국 스위스 등 선진국들은 중앙은행끼리 달러화 스와프 협정이 체결돼 유동성 부족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달러화 공급이 즉시 이뤄지고 있다.

IMF 관계자는 "경제의 펀더멘털(기초 체력)이 양호하지만 이번 국제 금융위기와 같은 외적 변수에 따라 일시적으로 달러화 유동성 문제가 발생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달러화 스와프 창구를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신용경색 문제로 달러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등과 같은 신흥국들이 달러화 통화스와프 창구를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WSJ는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던 IMF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다시 국제 무대의 전면에 나서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IMF는 1980년대 남미 경제위기 당시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에 구제금융을 제공하며 국제 금융시장의 '최종 대부자'로 자리 잡았고 특히 아시아 외환위기 때는 한국 등 환란국들의 경제 구조조정을 주도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한편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WSJ가 한국을 우선승인국 대상 가능성 국가로 거론한 것과 관련, "한국은 외환보유액이 충분한 나라"라며 "IMF가 우리를 대상국으로 생각할 리 없고, IMF에 지원을 신청할 계획도 없다"고 강력 부인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유병연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