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0% 시대 맞이할 수도" -SK증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FOMC가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로 내린 가운데, 향후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30일 SK증권 송재혁 이코노미스트는 연방기금 금리 0% 시대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송 이코노미스트는 "신뢰 상실과 유동성 경색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금리인하의 실효성은 계속 의심을 받고 있고 느슨한 통화정책이 결국 주택시장 버블로 돌아와 미국 및 세계경제를 혹독한 시련으로 몰고 있다는 점에서 이미 1%의 연방기금금리에 대한 비판도 상당하지만, 일단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으며 살아남는 게 중요한 문제"라며 "연준이 고육지책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결국 상황에 맞춰서 금리를 결정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금리인하, 통화스왑, IMF 구제금융 등 국제적인 정책공조가 강화되고 있고, 금융시장 안정 조짐도 하나둘 등장하는 상황에서 향후 금융시장이 시스템 붕괴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연방기금금리는 1%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금융시스템 붕괴와 급속한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면 0%대로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
30일 SK증권 송재혁 이코노미스트는 연방기금 금리 0% 시대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송 이코노미스트는 "신뢰 상실과 유동성 경색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금리인하의 실효성은 계속 의심을 받고 있고 느슨한 통화정책이 결국 주택시장 버블로 돌아와 미국 및 세계경제를 혹독한 시련으로 몰고 있다는 점에서 이미 1%의 연방기금금리에 대한 비판도 상당하지만, 일단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으며 살아남는 게 중요한 문제"라며 "연준이 고육지책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결국 상황에 맞춰서 금리를 결정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금리인하, 통화스왑, IMF 구제금융 등 국제적인 정책공조가 강화되고 있고, 금융시장 안정 조짐도 하나둘 등장하는 상황에서 향후 금융시장이 시스템 붕괴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연방기금금리는 1%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금융시스템 붕괴와 급속한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면 0%대로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