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침체 국면에 빠져든 경기를 살리기 위해선 서둘러 추가 경기부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소비 위축에 따른 경기침체를 막으려면 과감한 재정 집행을 통해 민생 촉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2일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민주당)은 대선 후 차기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 부양책을 통과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펠로시 의장은 그동안 1500억달러 규모의 제2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해왔다. 당선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되는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후보는 이에 앞서 1900억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제시했다. 감세와 인프라 투자,실업자 구제 확대를 비롯한 민생 살리기에 비중을 둔 대책이다.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 역시 실업수당 확대와 빈곤층 무료 급식이 필요하고,고용 창출을 위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크 잔디 무디스이코노믹닷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서민에게 돈을 나눠주면 수요가 살아나 경제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금 환급이 성장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너무 제한적"이라면서 "대신 법인세와 자본이득세 부과를 유예하는 것과 같은 더 과감한 조치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추가 부양책이 효과를 내려면 3000억∼5000억달러 규모는 돼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