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속 명품시계 '불티' 나는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매달 40% 이상의 매출 신장세는 요즘 같은 불황에서는 도저히 나올 수 없는 실적이죠."
국내 '시계 열풍'에 백화점 바이어들마저 혀를 내두른다. 소비위축으로 백화점마저 매출 부진으로 울상인데 유독 시계만은 '나홀로 호황'이다. 해외 브랜드들이 국내에 쏟아져 들어와 수억원대 명품시계부터 10만원 안팎의 패션시계까지 선택 폭도 무궁무진하다. 패션에 눈을 뜬 남성들이 정장 구입에는 인색해도 시계만큼은 꼭 '나만의 브랜드'를 찾는 게 요즘 추세인 것이다.
◆남성들 시계로 패션에 눈떴다
남성들은 단색 일변도의 정장으로는 차별화가 어렵지만 셔츠 소매 끝에 보일듯말듯 한 시계는 자신의 패션 수준을 보여주는 필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20~30대는 엠포리오아르마니ㆍ마이클코어스ㆍCK 같은 패션시계에,40~50대 성공한 남성들은 브레게ㆍ블랑팡ㆍ바쉐론콘스탄틴ㆍ오데마피게ㆍ파텍필립 등 '위버럭셔리'(초특급 명품) 명품시계에 주목하는 이유다.
시계 열풍에 힘입어 지난 1~10월 현대백화점의 시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 급증했고,신세계백화점도 45% 늘었다. 1000만원대 이상 고가 시계만 모아놓은 롯데 에비뉴엘 2층 시계전문매장도 60% 급증했다. 이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최근 무역센터점과 목동점에 에르메스ㆍ태그호이어ㆍ브라이틀링을,천호점에는 론진ㆍ라도를 새로 입점시켰다. 남성 직장인들이 준명품급 시계를 3~4개씩 갖고 싶어하는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명품시계 붐은 이제 시작
전문가들은 국내 시계 열풍이 이제 시작단계로 보고 있다. 이미 홍콩 일본 대만을 거쳐 중국보다도 뒤늦게 바람이 분 것이다.
최정규 현대백화점 명품 바이어는 "시계 브랜드에 대한 지식이 해박한 고객들이 많아 갈수록 희귀한 명품시계를 찾는다"고 말했다. 롯데 에비뉴엘 관계자는 "제품당 한두 개씩만 들여오는 명품시계를 먼저 사려는 고객들 간 경쟁이 치열하고 몇 달씩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고 귀띔했다. 17개 시계 브랜드를 판매하는 스와치그룹코리아에서도 가장 고가인 '브레게'와 '블랑팡'의 올 1~10월 매출 증가율이 100~200%로 가장 높다.
해외 명품시계 업계에선 한국의 시장규모가 소득수준이 엇비슷한 대만의 5분의 1에 불과해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유명 시계 브랜드 CEO(최고경영자)들이 속속 방한,공격적인 마케팅을 펴고 있다. 지난 7월 '태그호이어'의 장 크리스토퍼 바빈 회장에 이어 지난달에는 '까르띠에'의 버나드 포나스 회장,'위블로'의 장 클로드 비버 회장,'오데마피게'의 조르지오 헨리 메이란 회장 등이 무더기로 다녀가 한국시장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줬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국내 '시계 열풍'에 백화점 바이어들마저 혀를 내두른다. 소비위축으로 백화점마저 매출 부진으로 울상인데 유독 시계만은 '나홀로 호황'이다. 해외 브랜드들이 국내에 쏟아져 들어와 수억원대 명품시계부터 10만원 안팎의 패션시계까지 선택 폭도 무궁무진하다. 패션에 눈을 뜬 남성들이 정장 구입에는 인색해도 시계만큼은 꼭 '나만의 브랜드'를 찾는 게 요즘 추세인 것이다.
◆남성들 시계로 패션에 눈떴다
남성들은 단색 일변도의 정장으로는 차별화가 어렵지만 셔츠 소매 끝에 보일듯말듯 한 시계는 자신의 패션 수준을 보여주는 필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20~30대는 엠포리오아르마니ㆍ마이클코어스ㆍCK 같은 패션시계에,40~50대 성공한 남성들은 브레게ㆍ블랑팡ㆍ바쉐론콘스탄틴ㆍ오데마피게ㆍ파텍필립 등 '위버럭셔리'(초특급 명품) 명품시계에 주목하는 이유다.
시계 열풍에 힘입어 지난 1~10월 현대백화점의 시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 급증했고,신세계백화점도 45% 늘었다. 1000만원대 이상 고가 시계만 모아놓은 롯데 에비뉴엘 2층 시계전문매장도 60% 급증했다. 이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최근 무역센터점과 목동점에 에르메스ㆍ태그호이어ㆍ브라이틀링을,천호점에는 론진ㆍ라도를 새로 입점시켰다. 남성 직장인들이 준명품급 시계를 3~4개씩 갖고 싶어하는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명품시계 붐은 이제 시작
전문가들은 국내 시계 열풍이 이제 시작단계로 보고 있다. 이미 홍콩 일본 대만을 거쳐 중국보다도 뒤늦게 바람이 분 것이다.
최정규 현대백화점 명품 바이어는 "시계 브랜드에 대한 지식이 해박한 고객들이 많아 갈수록 희귀한 명품시계를 찾는다"고 말했다. 롯데 에비뉴엘 관계자는 "제품당 한두 개씩만 들여오는 명품시계를 먼저 사려는 고객들 간 경쟁이 치열하고 몇 달씩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고 귀띔했다. 17개 시계 브랜드를 판매하는 스와치그룹코리아에서도 가장 고가인 '브레게'와 '블랑팡'의 올 1~10월 매출 증가율이 100~200%로 가장 높다.
해외 명품시계 업계에선 한국의 시장규모가 소득수준이 엇비슷한 대만의 5분의 1에 불과해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유명 시계 브랜드 CEO(최고경영자)들이 속속 방한,공격적인 마케팅을 펴고 있다. 지난 7월 '태그호이어'의 장 크리스토퍼 바빈 회장에 이어 지난달에는 '까르띠에'의 버나드 포나스 회장,'위블로'의 장 클로드 비버 회장,'오데마피게'의 조르지오 헨리 메이란 회장 등이 무더기로 다녀가 한국시장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줬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