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3일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야당탄압' 논란을 둘러싸고 공방이 벌어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김민석 최고위원에 대해 검찰이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한 것이 표적수사의 결과라고 추궁했으나 김경한 법무장관은 조목조목 반박했다.

민주당 송영길 의원은 김 최고위원이 "정치 공백기에 유학하는 과정에서 20년 지기로부터 돈을 빌린 것"이라고 해명한 것을 들어 미국에서 유학 중인 한나라당 이재오 전 의원을 거론, "유학생활비를 누가 빌려줬다면 역시 정치자금법 위반이 되는 것이냐"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검찰은 서울시의회 뇌물 사건과 관련해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를 조사한 적이 있는가"라며 "여권 실세의 복귀용 포석으로 보이는 야당 인사들에 대한 편파수사를 중단하고 여권 실세에 대해서도 형평성있게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또 "김 최고위원에 대한 영장 청구는 구속 사유인 거주 불명, 증거인멸과 도주 우려 중 어디에 속하느냐"고 따졌다.

그러나 김 법무장관은 "검찰이 구속사유가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검찰권 남용이 아니다"라고 맞섰다.

특히 김 장관이 이재오 전 의원, 홍 원내대표 수사와 관련, "잘 모르겠다"며 대답을 피하자 송 의원은 "다 잘 모른다고 하면서 김 최고위원 건에 대해서는 왜 이렇게 잘 아느냐"고 비꼬았다.

이에 김 장관은 "송 의원이 질문을 한다기에 준비하고 공부하고 나왔다"고 답해 폭소가 터졌다.

김 장관은 또 민주당 김동철 의원이 "이명박 정부는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표방하면서 전 정권과 연관된 기업을 상대로 표적 수사를 하고 있으며, 18대 선거사범 수사만 보더라도 당선 무효형이 야당은 8명인데 여당은 2명 뿐"이라고 몰아세우자 "여야간 수사 형평성을 잃었다는 주장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맞받아쳤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도 "검찰이 전 정권과 가깝다는 이유로 애경백화점, 프라임 그룹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부터 해놓고 겁주고, 야당 의원이면 무조건 기소하고 있다"며 "보복사정을 위해 법치를 강조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김 장관은 박 의원이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의 농지법 위반 사건은 5개월이나 됐다.

앞으로 10년간 수사할 것이냐"고 추궁하자 "빨리 하겠다"고 답변했다.

반면 한나라당 공성진 의원은 "야당은 이명박 정부가 공안정국으로 몰아간다고 하는데 정작 기자실에 대못박고 공영방송 KBS에 방송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정연주 전 사장을 낙하산 임명한 게 누구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야당 탄압이라고 성토하고 있지만 오히려 여당 의원들에게 당선 무효에 해당하는 판결이 속속 내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