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휘청에 허리휘는 펀드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들어 자금난에 일부 회사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관련된 펀드들도 속속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일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하나UBS자산운용은 운용중인 펀드가 최근 채권단관리 신청을 검토중인 C&그룹 계열사와 관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UBS자산운용은 공시를 통해 "지난 2005년 4월 설정한 '하나UBS세계로선박특별자산 2'이 부실우려가 있다"면서 "평가금액은 37억8875만5187원이지만 상각금액이 6억5222만7287원으로 상각률이 17.21%에 달한다"고 공시했다.
이 펀드는 선박을 운영해서 나오는 수익을 올리는 구조로, 선박금융회사를 통해 운용되는 상품이다. 실제 선박을 운영하는 회사는 C&나인으로 C&그룹의 자회사다.
이 펀드는 지난 2005년 5월3일에 설정된 폐쇄형 공모펀드로, 만기일이 2009년 5월 3일로 얼마 남지 않은 상태다. 설정액은 41억원으로, 지난달 주식시장이 급락세를 보였을 당시에도 플러스 수익률을 유지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C&그룹 자금유동성 문제가이 불거질 당시 금융감독원은 "C&그룹 계열사에 대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투자 현황 조사결과 자기자금이나 펀드 등을 통해 투자한 회사는 없었다"고 밝힌 바 있어 이 펀드에 대한 문제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C&그룹 외에도 신성건설이나 우영과 관련된 펀드들도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도이치투신운용은 중소형 건설사인 신성건설이 만기가 된 회사채의 원리금을 갚지 않아 이 채권을 매입했던 펀드들이 잇달아 환매를 중지했다고 전날 밝혔다.
도이치투신운용은 "펀드에 속한 자산의 부도 발생 등으로 펀드 가치의 공정한 평가가 어려워졌다"면서 '도이치코리아채권1-1' 등 5개 펀드의 환매를 중지시켰다.
법정관리중인 우영의 경우 올해 초 부도당시 기업어음(CP)에 투자한 고수익고위험채권펀드(일명 하이일드 펀드)가 2개 있었다. 당시 우영의 CP에 투자한 펀드는 한국운용의 '한국분리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혼합1'과 한화투신의 '한화분리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1' 등이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5일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하나UBS자산운용은 운용중인 펀드가 최근 채권단관리 신청을 검토중인 C&그룹 계열사와 관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UBS자산운용은 공시를 통해 "지난 2005년 4월 설정한 '하나UBS세계로선박특별자산 2'이 부실우려가 있다"면서 "평가금액은 37억8875만5187원이지만 상각금액이 6억5222만7287원으로 상각률이 17.21%에 달한다"고 공시했다.
이 펀드는 선박을 운영해서 나오는 수익을 올리는 구조로, 선박금융회사를 통해 운용되는 상품이다. 실제 선박을 운영하는 회사는 C&나인으로 C&그룹의 자회사다.
이 펀드는 지난 2005년 5월3일에 설정된 폐쇄형 공모펀드로, 만기일이 2009년 5월 3일로 얼마 남지 않은 상태다. 설정액은 41억원으로, 지난달 주식시장이 급락세를 보였을 당시에도 플러스 수익률을 유지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C&그룹 자금유동성 문제가이 불거질 당시 금융감독원은 "C&그룹 계열사에 대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투자 현황 조사결과 자기자금이나 펀드 등을 통해 투자한 회사는 없었다"고 밝힌 바 있어 이 펀드에 대한 문제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C&그룹 외에도 신성건설이나 우영과 관련된 펀드들도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도이치투신운용은 중소형 건설사인 신성건설이 만기가 된 회사채의 원리금을 갚지 않아 이 채권을 매입했던 펀드들이 잇달아 환매를 중지했다고 전날 밝혔다.
도이치투신운용은 "펀드에 속한 자산의 부도 발생 등으로 펀드 가치의 공정한 평가가 어려워졌다"면서 '도이치코리아채권1-1' 등 5개 펀드의 환매를 중지시켰다.
법정관리중인 우영의 경우 올해 초 부도당시 기업어음(CP)에 투자한 고수익고위험채권펀드(일명 하이일드 펀드)가 2개 있었다. 당시 우영의 CP에 투자한 펀드는 한국운용의 '한국분리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혼합1'과 한화투신의 '한화분리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1' 등이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