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의 국회 처리를 둘러싸고 여야 간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오는 17일 이전에 해당 상임위원회인 외교통상통일위에 비준안을 직권 상정하겠다는 방침인 반면 민주당은 직권 상정할 경우 실력으로 저지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한나라당은 9일 '17일 이전 상정'은 야권과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 국익을 위해 취해야 할 최소한의 조치라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미국 의회에서 레임덕 세션이 열리는 기간(17∼19일)에 미국을 방문해 비준안 처리를 설득하려면 한국이 비준 동의 절차에 돌입했다는 점이 '무기'가 될 수 있어서다.

박진 외통위원장은 이날 "야당의 동참을 최대한 이끌어 내겠지만 끝까지 반대하면 한나라당만이라도 상정한 뒤 방미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윤상현 대변인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비서실장 내정자인 램 이매뉴얼이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해 레임덕 세션에서 빨리 비준을 하자는 의견을 개진한 적이 있다. 오바마 측도 모두 FTA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야당의 반발로 외통위 차원의 방미가 무산되거나 지연될 경우 다음 달 초 당 차원에서 방미 대표단을 보내기로 했다.

이에 민주당은 '선(先) 대책 마련,후(後) 비준' 원칙을 고수하며 비준안 상정에 대한 원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조정식 원내대변인은 "한.미 FTA 비준안은 국회 차원의 별도 특위를 설치해 논의해야 한다"며 "외통위를 통한 한나라당의 일방적 상정 처리에 절대로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단독 상정을 강행할 경우 회의장을 점거하는 등 실력 행사도 불사할 태세다. 민주당은 10일 의원 워크숍에서 구체적 액션 플랜을 논의키로 했다.

강동균/이준혁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