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연봉 깎고 中企대출 늘려라" 압박
은행 "주주권 침해·수익성 악화" 볼멘소리

금융감독원과 은행들이 지급보증 관련 양해각서(MOU)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금감원은 대형 시중은행의 은행장 연봉 삭감폭은 30%는 돼야 하며 중소기업 대출 확대 목표치도 좀더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부 시중은행들은 금감원의 이 같은 요구가 지나치다며 반발하고 있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은행들이 최근 제출한 외화채무 지급보증 관련 MOU 초안의 내용이 미흡하다며 강화해 줄 것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과도한 연봉으로 비난을 받고 있는 시중 은행장은 30% 이상,국책은행과 지방은행은 10~20% 수준에서 연봉 삭감을 유도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감원장이 연봉을 30% 삭감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암묵적인 가이드라인"이라며 "연봉이 많은 은행장은 더 깎고 연봉이 적은 은행장은 덜 깎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형평성 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장 연봉(스톡옵션과 활동수당 합산)은 국민은행장 16억2000만원,신한은행장 14억1600만원,우리은행장 10억원 등이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정부 방침이 지나치다는 반응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장 연봉 등 임원 급여는 주주들이 정하는 것인데 금감원의 강요는 주주권 침해 소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이 달러차입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해 정부에 손을 내민 것은 잘못"이라면서도 "하지만 달러 차입 증가는 수출환어음 매입 등 무역금융이 커져서 그런 것이며 기본적으론 미국발 금융위기 때문인데 일방적으로 국내 은행을 죄인으로 몰아가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중기 대출과 관련해서도 '냉가슴'을 앓고 있다.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중기 대출 확대를 하지 않는 은행들을 질타한 후 금감원이 MOU에 중기 대출 목표치를 높여달라고 압박하고 있다"며 "하지만 중기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고 은행의 수익성이 급속히 악화되는 와중에 무리하게 늘릴 수만은 없는 것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박준동/김현석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