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내달부터 군사분계선 통과 엄격 제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군이 12월1일부터 군사분계선(MDL)을 통한 모든 육로통행을 엄격히 제한,차단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김영철 남북 장성급회담 북측 대표단 단장은 12일 남측 군당국에 보낸 전화통지문에서 "위임에 따라 오는 12월1일부터 1차적으로 군사분계선을 통한 모든 육로통행을 엄격히 제한,차단하는 우리 군대의 실제적인 중대조치가 단행된다는 것을 정식으로 통고한다"고 밝혔다.
통지문은 "현 북남관계가 전면 차단이라는 중대기로에 놓여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역사적인 두 선언에 대한 남조선 괴뢰당국의 구태의연한 입장과 태도가 최종적으로 확인됐다"며 "지금 이러한 입장과 태도는 선언에 따른 북남합의를 노골적으로 파기하는 엄중한 행위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6ㆍ15공동선언 및 10ㆍ4선언에 대한 남한 정부의 입장을 문제삼았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이 통행 제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런 조치를 실행하게 된다면 그동안 쌓아온 남북관계 개선 노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중앙언론사 논설실장단 오찬간담회에서 "기다리는 것도 때로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의 조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상생과 공영,대화라는 큰 틀의 원칙을 갖고 대북문제를 당당하게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북측이 육로통행의 '전면 차단'이 아닌 '엄격 제한,차단' 조치라고 밝힘에 따라 당장 남측 인원의 개성공단 등 출입이 전면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남측의 대응을 지켜보면서 조치의 수위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잇따른 삐라 살포로 인해 체제위협마저 느끼고 있어 추가적인 강한 조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아산은 지난 7월11일 남측 관광객이 금강산에서 북측 초병에게 피살되면서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그나마 현재 개성 관광이 진행돼 남북 관광사업의 맥을 잇고 있는데 북측이 12월부터 개성 관광객까지 막으면 경영 부담은 물론 대북사업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이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북측으로부터 개성관광에 대해 중단 통보를 받은 바 없다"며 "현재로선 관광객을 받지 않겠다고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성 관광에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원기/김동민 기자 wonkis@hankyung.com
통지문은 "현 북남관계가 전면 차단이라는 중대기로에 놓여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역사적인 두 선언에 대한 남조선 괴뢰당국의 구태의연한 입장과 태도가 최종적으로 확인됐다"며 "지금 이러한 입장과 태도는 선언에 따른 북남합의를 노골적으로 파기하는 엄중한 행위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6ㆍ15공동선언 및 10ㆍ4선언에 대한 남한 정부의 입장을 문제삼았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이 통행 제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런 조치를 실행하게 된다면 그동안 쌓아온 남북관계 개선 노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중앙언론사 논설실장단 오찬간담회에서 "기다리는 것도 때로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의 조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상생과 공영,대화라는 큰 틀의 원칙을 갖고 대북문제를 당당하게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북측이 육로통행의 '전면 차단'이 아닌 '엄격 제한,차단' 조치라고 밝힘에 따라 당장 남측 인원의 개성공단 등 출입이 전면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남측의 대응을 지켜보면서 조치의 수위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잇따른 삐라 살포로 인해 체제위협마저 느끼고 있어 추가적인 강한 조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아산은 지난 7월11일 남측 관광객이 금강산에서 북측 초병에게 피살되면서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그나마 현재 개성 관광이 진행돼 남북 관광사업의 맥을 잇고 있는데 북측이 12월부터 개성 관광객까지 막으면 경영 부담은 물론 대북사업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이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북측으로부터 개성관광에 대해 중단 통보를 받은 바 없다"며 "현재로선 관광객을 받지 않겠다고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성 관광에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원기/김동민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