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27.7% "경기침체로 유흥비 가장 많이 줄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국내외 경제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민들은 지출 절감을 위해 유흥비를 가장 많이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이 회사가 12, 13일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어느 부문의 소비를 가장 많이 줄였는지 전화설문조사한 결과, '유흥비'라는 응답이 27.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류비(14.6%)와 식비(13.3%)가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교육비를 줄였다는 응답이 9.1%로 4위로 조사됐고, 통신비(8.2%), 금융지출(7.7%), 문화비용(5.5%), 담배값(2.5%)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유흥비 지출을 줄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남성(36%)이 여성(19%)의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고, 남성은 다음으로 유류비(18.3%), 식비(11.2%) 순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식비(15.4%)가 2위로 나타났고, 통신비(13.0%), 교육비(12.0%), 유류비(10.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만이 유류비(25.3%)을 가장 많이 줄인 항목으로 꼽았고, 그 외 연령층은 압도적으로 유흥비가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34.9%)가 그러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40대(33.0%), 30대(29.5%) 순으로 조사됐다. 그 외 20대는 식비(18.4%), 교육비(12.9%) 순으로 조사됐고, 30대는 유류비(14.8%)와 통신비(12.6%)를, 40대는 식비(11.5%)를 절감했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그밖에 지역별로는 대전/충청(19.9%) 응답자가 식비를 절감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남/광주 응답자는 유류비(18.0%)와 유흥비(17.7%)라는 응답이 비슷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유흥비가 가장 많이 절감한 항목으로 꼽혔다. 특히 그러한 응답은 부산/경남(35.8%)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인천/경기(32.1%), 서울(28.6%) 순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p였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1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이 회사가 12, 13일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어느 부문의 소비를 가장 많이 줄였는지 전화설문조사한 결과, '유흥비'라는 응답이 27.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류비(14.6%)와 식비(13.3%)가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교육비를 줄였다는 응답이 9.1%로 4위로 조사됐고, 통신비(8.2%), 금융지출(7.7%), 문화비용(5.5%), 담배값(2.5%)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유흥비 지출을 줄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남성(36%)이 여성(19%)의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고, 남성은 다음으로 유류비(18.3%), 식비(11.2%) 순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식비(15.4%)가 2위로 나타났고, 통신비(13.0%), 교육비(12.0%), 유류비(10.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만이 유류비(25.3%)을 가장 많이 줄인 항목으로 꼽았고, 그 외 연령층은 압도적으로 유흥비가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34.9%)가 그러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40대(33.0%), 30대(29.5%) 순으로 조사됐다. 그 외 20대는 식비(18.4%), 교육비(12.9%) 순으로 조사됐고, 30대는 유류비(14.8%)와 통신비(12.6%)를, 40대는 식비(11.5%)를 절감했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그밖에 지역별로는 대전/충청(19.9%) 응답자가 식비를 절감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남/광주 응답자는 유류비(18.0%)와 유흥비(17.7%)라는 응답이 비슷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유흥비가 가장 많이 절감한 항목으로 꼽혔다. 특히 그러한 응답은 부산/경남(35.8%)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인천/경기(32.1%), 서울(28.6%) 순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p였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