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건설산업선진화위원장

금융위기로 중국 미국 등 주요 교역 대상국들의 경제가 동반 악화되면서 우리 경제 성장의 주동력인 수출 증가율도 둔화되고 있다.

이 와중에 건설산업은 한계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정부에서 지난 6월부터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한 달이 멀다하고 고강도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건설회사들은 여전히 부도 공포에 떨고 있다. 건설산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길은 어디 있을까. 과거처럼 해외로 진출해 고용을 창출하고,외화를 벌어들여 지금의 경제위기 극복에 앞장서는 일이다.

세계 건설시장 규모는 연간 4조달러에 이른다. 세계적 경기예측기관인 '글로벌 인사이트'의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건설시장은 2012년까지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건설업체들이 이 중 5%만 수주해도 물경 2000억달러를 넘는다. 중동지역과 플랜트 분야에 집중돼 있는 시장을 다변화하고,산학연관이 합심해 공격적인 전략을 펼친다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목표다.

기업들이 해외 사업을 확대할 때 가장 중요한 과제는 선진 외국업체와의 파트너십이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타당성 조사,금융 조달,설계와 엔지니어링,CM,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 등 소프트웨어 역량을 확충하는 일이다. 각 기업의 업무수행 절차와 방법에 글로벌 스탠더드를 수용,정착시키는 일도 간과될 수 없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룰을 외면하고 '한국식'만을 고집할 경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경쟁력이 국제경쟁력으로 전환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해외 건설을 활성화하는 데는 단기 또는 중장기 대책이 적절히 조합된 정부의 지원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선 KOICA(한국국제협력단)와 수출입은행을 통해 집행되는 ODA(공적개발원조) 규모를 확대해 개발도상국가들의 건설시장을 선점하고,정부의 자원외교를 활용해 자원개발과 인프라 건설을 연계하는 자원부국들의 '패키지 딜' 발주 방식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세법을 개정해 해외 근로자들의 소득세 면세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우리 건설업체들의 진출이 예상되는 국가와 조세협약을 체결해 기업들이 이중과세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정부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