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금융정상회의] 높아진 한국 위상 … G20 공동의장국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英 · 브라질과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차기 회의 때까지 준비해야 하는 각국의 액션플랜(행동계획) 이행 방안을 G20 공동의장국인 한국과 영국,브라질이 만들도록 결정남에 따라 세계 공조체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이들 3개국이 주목받고 있다. 공동의장국은 순번제로 돌아가는 것이지만 한국의 경우 10년 전만 해도 외환위기로 구제금융을 받은 처지였는데 이제 신흥국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 의장국으로 선정됐다. 현 의장국인 브라질에 이어 내년 G20 의장국은 영국이 맡는다. 이들 3개국은 공동의장국으로서 G20의 모든 진행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각국은 5개 액션플랜에 합의하고 그에 입각한 47개 중.단기 실천과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시간계획을 공동의장국 주도 아래 마련하도록 했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16일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 발표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세계 경제의 중심이 선진국에서 신흥시장국을 포함한 G20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라면서 "특히 한국과 영국 브라질 등 3개 의장국은 그 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회의 등은 사전에 실무 차원에서 안이 대부분 만들어지고 실제 회담에서는 이를 추인하는 형식이 되기 때문에 사전 안이 매우 중요하다"며 "세부 방안을 만드는 데 한국이 참여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큰 기회이기도 하지만 상당히 큰 과제를 부여받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과 영국 브라질이 어떤 방식으로 세계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지에 는 아직 합의한 게 없다. 다만 3개국 가운데 한국과 브라질 등 두 나라가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생성된 파생상품 등으로부터 위협을 당하는 나라인 만큼 이런 문제들에 대한 규제에 좀 더 적극적인 대응책이 실행 방안에 담길 가능성이 크다. 이들 3개국은 이르면 내주부터 협의를 갖고 3개국의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 전문가와 IMF의 전문가 등이 참가하는 작업반을 만들어 구체적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차기 회의 때까지 준비해야 하는 각국의 액션플랜(행동계획) 이행 방안을 G20 공동의장국인 한국과 영국,브라질이 만들도록 결정남에 따라 세계 공조체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이들 3개국이 주목받고 있다. 공동의장국은 순번제로 돌아가는 것이지만 한국의 경우 10년 전만 해도 외환위기로 구제금융을 받은 처지였는데 이제 신흥국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 의장국으로 선정됐다. 현 의장국인 브라질에 이어 내년 G20 의장국은 영국이 맡는다. 이들 3개국은 공동의장국으로서 G20의 모든 진행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각국은 5개 액션플랜에 합의하고 그에 입각한 47개 중.단기 실천과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시간계획을 공동의장국 주도 아래 마련하도록 했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16일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 발표와 관련한 브리핑에서 "세계 경제의 중심이 선진국에서 신흥시장국을 포함한 G20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라면서 "특히 한국과 영국 브라질 등 3개 의장국은 그 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회의 등은 사전에 실무 차원에서 안이 대부분 만들어지고 실제 회담에서는 이를 추인하는 형식이 되기 때문에 사전 안이 매우 중요하다"며 "세부 방안을 만드는 데 한국이 참여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큰 기회이기도 하지만 상당히 큰 과제를 부여받은 셈"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과 영국 브라질이 어떤 방식으로 세계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지에 는 아직 합의한 게 없다. 다만 3개국 가운데 한국과 브라질 등 두 나라가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생성된 파생상품 등으로부터 위협을 당하는 나라인 만큼 이런 문제들에 대한 규제에 좀 더 적극적인 대응책이 실행 방안에 담길 가능성이 크다. 이들 3개국은 이르면 내주부터 협의를 갖고 3개국의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 전문가와 IMF의 전문가 등이 참가하는 작업반을 만들어 구체적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