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아스트라제네카 '크레스토' ‥ 심혈관질환 발생률 44%나 줄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스트라제네카의 '크레스토'(성분명 로수바스타틴)가 저밀도지단백(LDL)결합 콜레스레롤 수치는 정상이더라도 잠재적인 심혈관질환 위험을 안고 있는 사람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44%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즈에서 개최된 2008 미국심장학회(AHA)에서 크레스토가 이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돼 '저용량 아스피린'처럼 심혈관질환 예방약으로 써도 유효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2003년 2월부터 5년여에 걸쳐 크레스토를 하루에 20㎎씩 약 2년간 복용한 그룹(8901명)과 같은 기간 가짜약(위약)을 먹은 그룹(8901명)을 비교한 결과 크레스토는 위약에 비해 심장마비 위험성은 54%,뇌졸중 위험성은 48%,심장마비 및 뇌졸중의 통합 위험성은 4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사망률은 20%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상시험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중간값이 108㎎/㎗,혈관의 염증 정도를 반영하는 'C-반응성 단백질'(CRP:C-reactive protein)의 중간값이 4.2㎎/ℓ였다. 임상적으로 LDL-콜레스테롤이 100∼129이면 '높은 정상',100 미만이면 적합으로 판정한다. CRP는 1 이하면 심장병 당뇨병의 위험이 낮고,1∼3이면 평균 정도의 위험도이며,3을 넘어가면 심장병 당뇨병의 위험도가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본다. 임상시험 결과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레스토 복용그룹에서 108에서 55로 떨어진 반면 위약 그룹에선 109로 늘었다. CRP는 크레스토가 4.2에서 1.8로 낮추는 효과를 낸 반면 위약은 3.3으로 줄어드는 데 그쳤다. 다만 한국에서는 임상시험이 실시되지 않았고 한국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크레스토 10㎎용량으로 이뤄지지 않은 실험이라서 임상결과를 전폭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대해 장양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55㎎/㎗ 이하로 낮추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감소시킬수 있다는 게 입증됐다"면서 "만약 LDL-콜레스테롤 수치와 상관없이 CRP단백질 수치가 높다면 크레스토 복용을 적극 고려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번 임상결과를 토대로 내년 상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크레스토의 효능에 심혈관질환 예방 항목의 추가를 요청하는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2003년 2월부터 5년여에 걸쳐 크레스토를 하루에 20㎎씩 약 2년간 복용한 그룹(8901명)과 같은 기간 가짜약(위약)을 먹은 그룹(8901명)을 비교한 결과 크레스토는 위약에 비해 심장마비 위험성은 54%,뇌졸중 위험성은 48%,심장마비 및 뇌졸중의 통합 위험성은 4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사망률은 20%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상시험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중간값이 108㎎/㎗,혈관의 염증 정도를 반영하는 'C-반응성 단백질'(CRP:C-reactive protein)의 중간값이 4.2㎎/ℓ였다. 임상적으로 LDL-콜레스테롤이 100∼129이면 '높은 정상',100 미만이면 적합으로 판정한다. CRP는 1 이하면 심장병 당뇨병의 위험이 낮고,1∼3이면 평균 정도의 위험도이며,3을 넘어가면 심장병 당뇨병의 위험도가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본다. 임상시험 결과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레스토 복용그룹에서 108에서 55로 떨어진 반면 위약 그룹에선 109로 늘었다. CRP는 크레스토가 4.2에서 1.8로 낮추는 효과를 낸 반면 위약은 3.3으로 줄어드는 데 그쳤다. 다만 한국에서는 임상시험이 실시되지 않았고 한국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크레스토 10㎎용량으로 이뤄지지 않은 실험이라서 임상결과를 전폭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대해 장양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55㎎/㎗ 이하로 낮추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감소시킬수 있다는 게 입증됐다"면서 "만약 LDL-콜레스테롤 수치와 상관없이 CRP단백질 수치가 높다면 크레스토 복용을 적극 고려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번 임상결과를 토대로 내년 상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크레스토의 효능에 심혈관질환 예방 항목의 추가를 요청하는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