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조조정 머뭇거리면 공멸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과 채권금융단이 주도하는 건설사 구조조정 프로그램인 대주단 자율협약 가입이 은행과 건설사들의 동상이몽으로 공전(空轉)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7일까지였던 1차 시한내 단 한개 업체의 가입 신청도 없어 기간을 연장했지만 헛돌기는 마찬가지다. 건설업을 비롯 위기에 처한 우리 산업의 구조조정이 시급한 마당에 그 첫단계로 볼 수 있는 대주단 가입문제조차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으니 안타깝기 짝이 없다.
대주단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발족됐다. 업체가 주 채권은행을 통해 가입을 신청,승인을 받으면 1년간 채무상환이 연장되고 필요시 신규 대출도 가능하다. 얼핏 보면 건설업계에 단비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실제는 살생부와 다름없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고 가입이 부진한 것도 그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가입 승인이 거절되면 바로 부도위기를 맞을 수 있는데다 설사 승인된다 해도 부실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혀 수주 등에 큰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다. 채권단의 경영간섭으로 자발적 회생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유도 든다. 이에 반해 은행측은 대주단 협약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정상적인 기업을 살리기 위한 상생부라며 업계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물론 양측 입장 모두 일리는 있다. 그렇지만 지금처럼 서로에 대한 불신으로 가입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경우 그 피해는 은행과 건설업계를 넘어 전 경제로 확산된다는 것을 모두가 명심해야 한다. 특히 건설업 대주단 협약의 성공여부는 조선업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른 업종 구조조정에 시금석(試金石)이 될 수밖에 없는데다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채권 은행들에도 발등의 불과 같은 문제인 만큼 해결책이 시급한 상황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은행측은 대주단에 가입해 구조조정을 하면 살 수 있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업계에 보내야 한다. 업계 역시 시간만 질질 끌다가는 업계 전체가 공멸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 가입전 선지원 등 무리한 요구는 자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살생부 논란을 피하기 위해 해외건설업체,전문건설업체,건축업체,토목업체 등 분야별로 나누어 집단가입을 유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대주단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발족됐다. 업체가 주 채권은행을 통해 가입을 신청,승인을 받으면 1년간 채무상환이 연장되고 필요시 신규 대출도 가능하다. 얼핏 보면 건설업계에 단비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실제는 살생부와 다름없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고 가입이 부진한 것도 그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가입 승인이 거절되면 바로 부도위기를 맞을 수 있는데다 설사 승인된다 해도 부실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혀 수주 등에 큰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다. 채권단의 경영간섭으로 자발적 회생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유도 든다. 이에 반해 은행측은 대주단 협약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정상적인 기업을 살리기 위한 상생부라며 업계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물론 양측 입장 모두 일리는 있다. 그렇지만 지금처럼 서로에 대한 불신으로 가입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경우 그 피해는 은행과 건설업계를 넘어 전 경제로 확산된다는 것을 모두가 명심해야 한다. 특히 건설업 대주단 협약의 성공여부는 조선업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른 업종 구조조정에 시금석(試金石)이 될 수밖에 없는데다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채권 은행들에도 발등의 불과 같은 문제인 만큼 해결책이 시급한 상황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은행측은 대주단에 가입해 구조조정을 하면 살 수 있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업계에 보내야 한다. 업계 역시 시간만 질질 끌다가는 업계 전체가 공멸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 가입전 선지원 등 무리한 요구는 자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살생부 논란을 피하기 위해 해외건설업체,전문건설업체,건축업체,토목업체 등 분야별로 나누어 집단가입을 유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