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 전격합의…中설득시 내달초 개최될것

한·미·일 3국 정상이 내달 6자회담을 열기로 전격 합의함에 따라 6자회담의 불씨가 다시 되살아날 수 있을지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심의 핵심은 북한이 과연 6자회담 재개에 동의할 것인지와 동의한다면 북핵 검증 방법에서 미국과 어떤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등에 모아지고 있다. 우선 북한의 회담재개 동의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1일 부시 대통령과 만나 선뜻 내달 초에 회담을 개최하자는 데 동의한 것으로 볼 때 사전에 북한과 교감을 가졌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런 관측대로라면 12월 초 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의장국인 중국이 곧 평양에 특사를 보내거나 외교 채널을 통한 고위급 협의를 통해 6자회담에서 채택할 검증 의정서의 수준을 사실상 결정하고 회담 개최의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참가국에 회람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겨울철 들어 에너지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도 6자회담을 통해 중유를 제공받기 위해 중국의 회담 제안에 호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북핵 검증 방식을 둘러싼 북한과 미국 간 견해차를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 12일 외무성 담화를 통해 "(핵) 검증 방법은 현장방문,문건확인,기술자들과의 인터뷰로 한정된다"면서 시료채취 거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미국은 시료채취가 담보되지 않는 검증은 북한의 과거 핵활동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확인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

정부 소식통은 23일 "부시 대통령의 임기가 두 달밖에 안 남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표현방식과 실제 검증착수 시기 등에서 미국이 융통성을 발휘하되 북한은 시료채취를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검증 의정서를 채택할 경우 6자회담이 원하는 시기에 개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임원기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