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경영위기에 빠진 씨티그룹 구제를 위해 3060억달러의 부실 자산에 대해 보증을 제공하는 한편 200억달러의 자본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씨티그룹은 일단 급한 불을 끌 수 있게 됐다.

미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24일 합동 발표문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반드시 필요한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씨티에 자본 투입,부실자산 지급 보증 및 유동성 지원 등의 조치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금융시장의 불안 요소로 작용해 온 씨티의 파산을 방치할 경우 전체 금융시장이 위험에 처할 것이란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발표문에 따르면 재무부와 FDIC는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관련 자산 등 부실가능성이 있는 씨티의 3060억달러 자산에 대해 보증을 제공하기로 했다. 해당 자산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290억달러까지는 씨티가 책임지고 추가 손실이 나면 재무부가 50억달러,FDIC가 100억달러를 떠맡게 된다. 대신 씨티는 보증료로 총 70억달러의 우선주를 지급키로 했다.

이와 별도로 재무부는 우선주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총 200억달러의 자본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우선주의 배당률은 8%다. 이렇게 되면 씨티는 지난 10월 250억달러에 이어 총 450억달러의 공적자금을 정부에서 지원받게 된다. 대신 씨티는 재무부의 동의 없이 분기에 주당 1센트 이상을 배당하지 못한다. 또 임원 보수가 제한되며 주택소유자들을 압류로부터 보호하는 FDIC의 모기지 계약재조정 프로그램에도 참여해야 한다. 정부는 또 납세자 보호 차원에서 씨티가 발행하는 총 우선주의 10%에 해당하는 27억달러 규모의 신주인수권(워런트)을 갖게 된다. 시장에선 이번 조치로 씨티 잠재부실에 대한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제거된 만큼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