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2000억弗 무너졌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달중 157억달러 풀려 가능성
정부 "대외채무도 줄어 괜찮다"
외환보유액이 심리적 저항선인 200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국제 금융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급격한 외환보유액 감소는 막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2122억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정부와 한은은 이달 들어 수출입금융에 67억달러,원화와 달러를 맞바꾸는 외환스와프 입찰에 75억달러 등 총 157억달러를 풀었다. 게다가 정부와 한은은 앞으로 외환보유액을 추가로 풀어야 할 가능성이 크다. 은행들의 외화자금 사정이 별로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외환보유액은 이미 200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거나 조만간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외환보유액이 2000억달러를 밑돌게 되면 2005년 1월(1997억달러)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앞으로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이어지면 시중에 달러를 공급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외환보유액 감소 속도가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은 외채와 함께 봐야 한다"며 "10월에 외환보유액이 274억달러 줄었지만 대외채무도 230억달러가량 줄었고 11월에도 같은 추세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외환보유액 감소가 큰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환보유액 감소는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시장의 우려다. 2000억달러와 1900억달러는 숫자상 별 차이가 없지만 심리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7월 국회에서 "적정 외환보유액이 얼마인가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지만 2100억달러를 넘으면 적정하다는 의견이 다수"라고 밝혔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은행 지원 등을 위해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인정한다. 다만 국제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는 만큼 외환보유액이라는 '방패막이'가 너무 빨리 소진되지 않도록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오석태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외화유동성 문제가 해결되려면 전 세계 금융시장 여건이 풀리거나 경상수지가 대폭 흑자를 기록해야 하는데 둘 다 쉽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은 외환보유액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정부 "대외채무도 줄어 괜찮다"
외환보유액이 심리적 저항선인 200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국제 금융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급격한 외환보유액 감소는 막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2122억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정부와 한은은 이달 들어 수출입금융에 67억달러,원화와 달러를 맞바꾸는 외환스와프 입찰에 75억달러 등 총 157억달러를 풀었다. 게다가 정부와 한은은 앞으로 외환보유액을 추가로 풀어야 할 가능성이 크다. 은행들의 외화자금 사정이 별로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외환보유액은 이미 200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거나 조만간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외환보유액이 2000억달러를 밑돌게 되면 2005년 1월(1997억달러)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앞으로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이어지면 시중에 달러를 공급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외환보유액 감소 속도가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은 외채와 함께 봐야 한다"며 "10월에 외환보유액이 274억달러 줄었지만 대외채무도 230억달러가량 줄었고 11월에도 같은 추세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외환보유액 감소가 큰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환보유액 감소는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시장의 우려다. 2000억달러와 1900억달러는 숫자상 별 차이가 없지만 심리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7월 국회에서 "적정 외환보유액이 얼마인가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지만 2100억달러를 넘으면 적정하다는 의견이 다수"라고 밝혔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은행 지원 등을 위해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인정한다. 다만 국제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는 만큼 외환보유액이라는 '방패막이'가 너무 빨리 소진되지 않도록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오석태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외화유동성 문제가 해결되려면 전 세계 금융시장 여건이 풀리거나 경상수지가 대폭 흑자를 기록해야 하는데 둘 다 쉽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은 외환보유액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