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그룹, 회생의 구급차는 탔지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권단, 선박선수금 등 1조3000억지원 '부담'
임병석 회장 경영권 유지 어려울 수도
채권단이 3일 C&중공업과 C&우방에 대한 워크아웃(채권단 공동관리) 개시를 결정함에 따라 침몰 위기에 처했던 C&그룹이 회생의 기회를 갖게 됐다. 하지만 워크아웃 작업이 순탄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임병석 C& 회장의 경영권 유지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회생의 불씨는 살렸다
C&중공업과 C&우방의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되면서 희망의 불씨가 되살아났다. C&중공업과 C&우방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과 대구은행 등은 이날부터 워크아웃 작업을 개시해 각각 내년 2월13일과 3월2일까지 채권 행사를 유예키로 했다. 이에 따라 2개월 가까이 금융권 대출이 연체된 C&은 잠시나마 자금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채권단이 1주일 내로 긴급 운영자금 150억원 지원을 결정하면 C&중공업은 자금줄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C&중공업과 C&우방 채권단은 앞으로 금융회사와 협의해 2주 내에 실사 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후 채권단은 본격적인 실사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자산,부채 실사와 존속 가능 여부를 평가해 계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경영정상화 방안을 수립,본격적으로 기업 개선 작업에 나선다. 이 경우 C&중공업이 요청한 시설자금 1450억원 지원과 8억7500만달러의 선수금 환급보증서(RG) 발급 등이 이뤄질 수 있다. C&우방도 신규 자금을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
◆산 넘어 산
워크아웃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여전히 돌발 변수가 남아 있다는 얘기다. 채권단은 앞으로 짧게는 한 달,길게는 석 달간 진행되는 상세실사 결과 감춰진 부실이 많으면 워크아웃 부결 결정을 내린다는 입장이다. 1조3000억원에 달하는 RG 발급 등 막대한 자금 지원이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C&중공업과 C&우방에 대한 처리가 별도로 진행되는 점도 문제다. 채권단 간 이견으로 워크아웃 작업이 모두 지지부진해질 수 있다. 대부분 담보를 보유하고 있는 채권단이 경영정상화 방안에 반대,청산을 주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담보 비중이 작은 채권단은 워크아웃을 통해 채권 회수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은행은 2274억원의 대출 가운데 1635억원에 대해 담보를 갖고 있으며 C&중공업 채권액 비중이 51.5%인 메리츠화재도 RG 보험 중 상당액을 재보험에 든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이 요청한 자금만으로 경영정상화가 가능할지도 미지수다. 9월 말 현재 C&중공업의 유동부채(3985억원)가 유동자산(2039억원)보다 많고 총부채(4291억원)는 총자산의 95.9%에 이른다.
◆임병석 회장 경영권은 어떻게
채권단은 일단 실사를 끝내고 워크아웃 개시가 최종 결정되기 전까지 임 회장의 경영권을 보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워크아웃 진행 과정에서 기존 경영진과 대주주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어 임 회장의 경영권은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체적 평가다. C&은 그룹의 모회사라고 할 수 있는 C&해운을 중심으로 C&우방-C&상선-C&중공업 등으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로 엮여 있다. 임 회장은 C&해운 지분 55.3%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C&우방 채권단이 신규 자금 지원 이후 실질적 경영권을 갖게 되면 C&우방에 대한 C&해운의 경영권이 상실되면서 임 회장의 그룹 경영권도 유명무실해질 공산이 크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자금을 지원하고 경영관리단을 파견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해야 한다"며 "채권단이 감자와 출자 전환을 통해 실질적 경영권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창민/이심기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