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콘텐츠산업 중 핵심 산업이자 미래 성장동력 산업인 게임산업의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위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2012년까지 추진할 ‘게임산업진흥 중장기정책’을 발표했다.

3일 압구정동 소재 게임테마 레스토랑 재미스에서 열린 게임산업진흥 2차년도 중장기계획 발표 및 간담회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게임기업 대표 20여명, 유관단체장, 공직자, 50여개 언론사 취재단 등이 참석,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날 2012년 세계3대 게임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3,500억 원을 지원해 시장규모 10조원, 수출 규모 36억불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수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략적 수출 지원을 대폭 강화하며 독립 개발 스튜디오의 육성을 통한 선진형 산업구조의 정착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도 발표했다.

그 밖에도 글로벌 게임 허브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2012년까지 700 여 억원을 투입해 총 300여 기업을 육성하고, 게임 수출을 위한 해외 거점을 30개소로 확대하며, 20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게임펀드 조성하는 등 게임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도 공개했다. 특히 규제가 아닌 지원 중심의 제도 개선을 약속해 게임업계 CEO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외에도 연구 기술 부문에 500억 원을 투자해 선도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아케이드 산업단지 조성 및 기능성게임 시장 창출, 그리고 2010년까지 e스포츠의 체육 종목화 추진하는 등 다양한 계획들이 마련되어 있어 앞으로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한 전망을 밝게 했다.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