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과 다올부동산자산운용 등 민간에서 추진 중인 미분양펀드가 부동산 경기 급랭 여파로 투자자를 구하지 못해 출범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미분양펀드란 기관투자가와 일반인 등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미분양아파트 등을 매입한 뒤 되팔거나 이를 담보로 대출해 줌으로써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를 말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미분양펀드 조성을 위해 기관투자가들과 접촉해 왔으나 선뜻 투자하겠다고 나서는 곳을 찾지 못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미분양펀드를 언제 조성할 수 있을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은행은 미분양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를 지원하고 향후 주택가격 상승 때 수익을 창출한다는 목적 아래 올해 중반부터 1조원 규모 펀드의 조성을 추진해 왔다.

국민은행은 1조원 중 5000억원가량은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 5000억원은 국민연금 등 연기금과 은행 보험사 등으로부터 모집해 왔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기관투자가들도 자금에 여유가 없는 상태인 데다 향후 주택가격이 더 떨어질 위험도 있다는 측면에서 투자를 꺼리고 있다"고 전했다.

다올부동산자산운용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이 회사는 지난 봄 1000억원 규모의 공모형 미분양펀드 설립계획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지만 아직까지 공모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와 자금경색이 풀리는 시점까지 일단 공모를 보류한 상태"라고 말했다.

미분양펀드가 출범도 하기 전에 좌초할 위험에 빠진 것에 대해 금융위원회와 대한주택보증 간 견해 차이도 한몫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분양펀드가 조성돼 자금이 건설사에 투입될 경우 금융위는 건설사가 이 돈을 금융권 부채를 상환하는 데 써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대한주택보증은 이 돈을 대한주택보증이 관리하면서 건설사 사업비로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으로 맞서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