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로 불황 뚫는 中企조합] (1) 한국출판협동조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책 70만부 오차없이 배포 '출판유통 혁명'
전자주문 시스템 구축…매출15% 늘고 반품률은 감소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아 정보화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다 경영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어서다. 정부도 정보화 촉진 차원에서 2001년부터 '업종별 정보화 혁신 클러스터 지원사업'을 실시 중이다. 업종별 협동조합 업무에 알맞은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적인 공동구매·판매(유통)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정부가 총사업비의 80% 정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불황을 헤쳐가고 있는 주요 조합을 소개한다.
서울 마포구 신수동의 낡은 이층 건물.50년 역사의 한국출판협동조합(이사장 김중영) 사무실이 있는 곳이다. 마당을 가로질러 들어가니 광대한 서가(書架)가 펼쳐진다. "70만부 정도 됩니다. 전국 800여개 출판사들로부터 입고된 책들이지요. 서점에서 주문받은 책들이 여기서 발송됩니다. "(홍승대 전무)
면적이 2000㎡(600평)에 이르는 서가에는 'A-28-02-01'과 같은 고유번호가 매겨져 있다. 출판사·테마·전문서적·신간·베스트셀러 등의 분류에 따라 정돈돼 있는 것.곳곳에서는 주문 도서를 확인하고 출고파트로 책을 옮겨 포장·발송하는 작업이 일사분란하게 진행된다. 출고파트 직원이 출고작업지시서와 서적에 바코드를 찍으니 컴퓨터에 주문수량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승인이 떨어진다.
출판협동조합은 출판사와 서점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월 현재 814개 회원 출판사에서 발간된 12만종(70만부)의 책을 전국 600여개 서점으로 배송하는 유통시스템 운영이 조합의 핵심 업무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불과 5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다. 당시만 해도 전화,팩스 등 수작업으로 모든 업무를 처리해야 했던 만큼 조합은 정신이 없을 정도로 어수선했다. 영업부는 하루 종일 전화벨 소리가 끊이지 않았고 매일같이 200여장의 주문용 팩스가 쌓였다.
유성관 전산팀장은 "도서창고가 출판사별로만 분류돼 숙련된 직원이 아니면 어디에 무슨 책이 꽂혀 있는지 알 재간이 없었다"며 "심지어 조합에서 출고된 기록이 없는 서적이 반품되는 사례까지 벌어지기 일쑤였다"고 회고했다.
이 같은 환골탈태(換骨奪胎)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한 '정보화 클러스터 협력사업' 덕분에 가능했다. 출판조합은 이 사업을 통해 2003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2억4000만원을 받는 한편 자체 예산 1억원 등 총 3억4000만원을 들여 '전자문서교환 시스템'을 구축했다. 아날로그식 유통관행을 벗어나지 못했던 출판문화산업이 IT(정보기술)와 접목돼 '디지털 전자주문' 방식을 갖춘 것이다.
출판사와 서점,조합들은 첫 시스템이 가동된 2003년부터 조합의 재고물량이 얼마나 있는지,주문도서가 출고됐는지,미 발송 도서가 무엇인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생산성도 크게 높아졌다. 실례로 과거 6명이 담당했던 도서주문 분야를 현재는 2명이 맡고 있으며 종전에는 3일 걸렸던 출판대금 지불정산 기간도 4시간으로 대폭 단축됐다.
김중영 이사장은 "정보화 클러스터 사업으로 출판유통에 혁명이 일어난 셈"이라며 "지난해 출판조합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4% 증가했고 주문·배송오차도 줄어 반품률이 6.9%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의 반응도 호의적이다. 장수련 은평구 불광문고 과장은 "손님들이 서점에 없는 책을 찾을 때면 일일이 조합에 전화로 요청하거나 팩스 주문을 넣고 며칠씩 기다려야 했는데 지금은 온라인을 통해 모든 절차가 끝나 업무가 간편해졌다"고 밝혔다.
정기복 한울출판사 부장은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점별,지역별 주문현황을 집계할 수 있어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전자주문 시스템 구축…매출15% 늘고 반품률은 감소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아 정보화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다 경영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어서다. 정부도 정보화 촉진 차원에서 2001년부터 '업종별 정보화 혁신 클러스터 지원사업'을 실시 중이다. 업종별 협동조합 업무에 알맞은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적인 공동구매·판매(유통)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정부가 총사업비의 80% 정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불황을 헤쳐가고 있는 주요 조합을 소개한다.
서울 마포구 신수동의 낡은 이층 건물.50년 역사의 한국출판협동조합(이사장 김중영) 사무실이 있는 곳이다. 마당을 가로질러 들어가니 광대한 서가(書架)가 펼쳐진다. "70만부 정도 됩니다. 전국 800여개 출판사들로부터 입고된 책들이지요. 서점에서 주문받은 책들이 여기서 발송됩니다. "(홍승대 전무)
면적이 2000㎡(600평)에 이르는 서가에는 'A-28-02-01'과 같은 고유번호가 매겨져 있다. 출판사·테마·전문서적·신간·베스트셀러 등의 분류에 따라 정돈돼 있는 것.곳곳에서는 주문 도서를 확인하고 출고파트로 책을 옮겨 포장·발송하는 작업이 일사분란하게 진행된다. 출고파트 직원이 출고작업지시서와 서적에 바코드를 찍으니 컴퓨터에 주문수량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승인이 떨어진다.
출판협동조합은 출판사와 서점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월 현재 814개 회원 출판사에서 발간된 12만종(70만부)의 책을 전국 600여개 서점으로 배송하는 유통시스템 운영이 조합의 핵심 업무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불과 5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다. 당시만 해도 전화,팩스 등 수작업으로 모든 업무를 처리해야 했던 만큼 조합은 정신이 없을 정도로 어수선했다. 영업부는 하루 종일 전화벨 소리가 끊이지 않았고 매일같이 200여장의 주문용 팩스가 쌓였다.
유성관 전산팀장은 "도서창고가 출판사별로만 분류돼 숙련된 직원이 아니면 어디에 무슨 책이 꽂혀 있는지 알 재간이 없었다"며 "심지어 조합에서 출고된 기록이 없는 서적이 반품되는 사례까지 벌어지기 일쑤였다"고 회고했다.
이 같은 환골탈태(換骨奪胎)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한 '정보화 클러스터 협력사업' 덕분에 가능했다. 출판조합은 이 사업을 통해 2003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2억4000만원을 받는 한편 자체 예산 1억원 등 총 3억4000만원을 들여 '전자문서교환 시스템'을 구축했다. 아날로그식 유통관행을 벗어나지 못했던 출판문화산업이 IT(정보기술)와 접목돼 '디지털 전자주문' 방식을 갖춘 것이다.
출판사와 서점,조합들은 첫 시스템이 가동된 2003년부터 조합의 재고물량이 얼마나 있는지,주문도서가 출고됐는지,미 발송 도서가 무엇인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생산성도 크게 높아졌다. 실례로 과거 6명이 담당했던 도서주문 분야를 현재는 2명이 맡고 있으며 종전에는 3일 걸렸던 출판대금 지불정산 기간도 4시간으로 대폭 단축됐다.
김중영 이사장은 "정보화 클러스터 사업으로 출판유통에 혁명이 일어난 셈"이라며 "지난해 출판조합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4% 증가했고 주문·배송오차도 줄어 반품률이 6.9%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의 반응도 호의적이다. 장수련 은평구 불광문고 과장은 "손님들이 서점에 없는 책을 찾을 때면 일일이 조합에 전화로 요청하거나 팩스 주문을 넣고 며칠씩 기다려야 했는데 지금은 온라인을 통해 모든 절차가 끝나 업무가 간편해졌다"고 밝혔다.
정기복 한울출판사 부장은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점별,지역별 주문현황을 집계할 수 있어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