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휘 자산관리공사 사장 "부실채권 신속 처리 등 소방수 역할 충실히 하겠다"

이철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8일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에 빠졌던 원인 중 하나는 부실채권 처리가 늦었기 때문"이라며 "무엇보다 신속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캠코의 기본 역할은 시장 실패를 흡수하는 경제적 안전망"이라며 "캠코가 다시 나서게 된 상황은 유감이지만 선제적으로 지금의 위기를 수습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특히 캠코가 금융권의 '시한폭탄'인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 처리에 투입되면서 외환위기 이후 또다시 '해결사'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당시에는 정부가 주축이 돼 조성한 40조원의 부실채권정리기금을 동원해 '죽은' 채권을 처리했지만 지금은 공적자금 투입없이 캠코 자체의 계정으로 '살아있는' 채권을 시장가격을 통해 매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캠코의 공사채도 연 6% 후반대의 시장가격으로 발행되고 정부의 보증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사장은 그러나 향후 부실채권 매입 규모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캠코에 대한 신용보강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사채를 무한대로 발행할 수도 없고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큰 만큼 기술적으로 자금을 조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증자를 통해 캠코의 보증여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캠코가 추진 중인 신용회복사업도 서민 지원의 일환으로 가계와 개인의 부실을 흡수하는 것"이라며 "7000억원 수준의 기금을 3조원까지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캠코의 역할이 커질수록 외환위기를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하자 "캠코는 소방수 역할을 맡을 뿐"이라며 "최대한 신속히 임무를 처리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주재 주택금융공사 사장 "건설사ㆍ은행 유동성 늪에서 건져내겠다"

임주재 주택금융공사 사장은 8일 "현재의 미국과 과거 일본의 장기불황 사례에서 보듯이 주택금융시장의 불안이 금융위기로,이것이 다시 실물경제 침체와 불황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차단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위기가 자칫 외환시장의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택금융시장의 안전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주택 마련을 위한 장기대출 목적으로 출범한 주택금융공사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는 게 임 사장의 생각이다. 정부는 최근 주택금융공사의 자본금을 2000억원 확충한 데 이어 내년에 3000억원을 늘릴 계획이다. 임 사장은 "일단 은행들이 보유한 주택담보대출의 위험부담을 낮추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공사채 발행으로 시중은행이 보유한 3조원가량의 보금자리론을 인수하고,내년에는 금융공사가 발행하는 주택저당증권(MBS)과 주택담보대출의 맞교환을 통해 은행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임 사장은 "일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위험가중치가 35%지만 사실상 정부가 보증하는 MBS는 위험가중치가 0%여서 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높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임 사장은 "최악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이 닥치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보금자리론으로 흡수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사장은 "공사가 비록 설립된 지 4년에 불과하지만 현재 보증잔액은 30조원으로 신용보증기금(28조원)이나 기술보증기금(12조원)보다 많다"면서 "내년까지 5000억원의 자본보강이 이뤄지면 보증여력이 충분히 높아져 금융위기 상황시 범퍼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