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핵무기 보유명기 삭제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 국방부가 북한을 처음으로 핵무기 보유국에 포함시킨 것과 관련,오류가 있었다며 수정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9일 “해당 보고서와 관련,미국 측에 문의한 결과 보고서가 잘못 나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고 밝혔다.문 대변인은 “미국 정부 고위 관리는 산하 합동군사령부(U.S. Joint Operation Command)의 `2008 합동작전 환경평가보고서(The Joint Operation Environment 2008)‘가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에 포함시킨 것에 대해 ‘수정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며 “미 국방부에서도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며 관련 보고서는 잘못 나간 바,해당 부분을 삭제해 새로 내놓을 방침’이라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지난 달 25일 발간된 이 보고서는 태평양 및 인도양지역에 대해 기술하면서 ”아시아 대륙 연안에는 이미 5개 핵보유국이 있다(The rim of the great Asian continent is already home to five nuclear powers)“면서 5개 핵보유국으로 ”중국, 인도, 파키스탄, 북한, 러시아“를 영문 이니셜 순서에 따라 차례로 명기했다.미 정부 보고서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9일 “해당 보고서와 관련,미국 측에 문의한 결과 보고서가 잘못 나간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고 밝혔다.문 대변인은 “미국 정부 고위 관리는 산하 합동군사령부(U.S. Joint Operation Command)의 `2008 합동작전 환경평가보고서(The Joint Operation Environment 2008)‘가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에 포함시킨 것에 대해 ‘수정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며 “미 국방부에서도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며 관련 보고서는 잘못 나간 바,해당 부분을 삭제해 새로 내놓을 방침’이라고 답변했다”고 말했다.
지난 달 25일 발간된 이 보고서는 태평양 및 인도양지역에 대해 기술하면서 ”아시아 대륙 연안에는 이미 5개 핵보유국이 있다(The rim of the great Asian continent is already home to five nuclear powers)“면서 5개 핵보유국으로 ”중국, 인도, 파키스탄, 북한, 러시아“를 영문 이니셜 순서에 따라 차례로 명기했다.미 정부 보고서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