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이사람] 볼프강 합케 "자동차 산업 위기는 일시적 가볍고 안전한 차로 승부봐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목! 이사람] 볼프강 합케 "자동차 산업 위기는 일시적 가볍고 안전한 차로 승부봐야"
바스프 亞太지역 총괄 사장
한국차업계 신소재 '얼리어답터' 과거보다 신차개발 기간 짧아져
화학업체의 협조가 많이 필요할 것
"자동차 산업의 위기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 시기가 지났을 때 그동안 착실하게 준비하지 못한 기업들은 또 다른 위기를 맞을 것입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를 지금 시작해야 합니다. "
세계적 화학회사인 바스프의 볼프강 합케 아태지역 및 사업개발 총괄 사장의 말이다. 그는 최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와 만나 "지금 빚어지는 위기는 또 다른 기회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경우 현재 벌어지고 있는 글로벌 수요 위축의 직격탄을 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비 효율성이 높은 소형차 위주의 라인업을 잘 갖췄기 때문이라고.
합케 사장은 "현대자동차 등 한국 완성차 업체들은 아시아에서 폴리아미드 등 가벼운 신소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얼리 어답터(남들보다 먼저 신제품을 사서 써보는 사람)"라며 "바스프 입장에서 향후 성장동력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의 42%(연 2900만대)가 아시아지역에서 이뤄지고 있으며,향후에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합케 사장은 "가벼운 차체 중량은 배기가스를 줄이고 연료 효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차체 생산 때 금속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무게가 10% 줄고 연비가 5~7%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중량이 1㎏ 줄어들 때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5.3㎏ 줄어드는 것(자동차 사용기간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바스프는 일반 시트보다 무게가 25% 가벼우면서 복잡한 조립 과정이 필요없는 시트 쉘과 내구성을 강화한 가죽 및 직물 마감용 화학제품을 개발한 상태다.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이 다 어렵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중량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차량을 생산해 소비자의 관심을 되찾아야 합니다. 지금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먹구름이 걷힌 후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
합케 사장은 "바스프는 화학뿐 아니라 의료 등 여러 제품군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산해 놓은 데다 자동차 부품 비중이 전체 매출의 10~15% 수준으로 낮아 경기 침체의 영향을 적게 받는 편"이라며 "경쟁 업체 중 상품 수가 적고 공급처가 제한된 곳은 위기를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제품 포트폴리오가 협소하고,원청업체 수가 적은 부품업체들이 갈수록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그는 "제품 한 가지로 승부하는 부품업체의 경우 특정 산업 또는 기업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합케 사장은 신차 개발 기간이 점차 짧아지고 있으며,이 과정에서 화학업체들의 협조가 많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엔 디자인을 결정하는 순간부터 실제 신차를 생산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평균 48개월 정도였는데,지금은 30개월로 줄었고 2010년엔 18개월로 더욱 단축될 것"이라며 "혁신 소재 개발로 신차 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이뤄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바스프는 플라스틱과 농화학,정밀화학,의료 제품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업체로 작년 매출액이 약 580억유로에 달한다. 한국에서는 울산 여수 군산 등에 총 6개의 생산시설을 가동 중이다. 자동차용 화학제품 공급량만 따지면 세계 1위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한국차업계 신소재 '얼리어답터' 과거보다 신차개발 기간 짧아져
화학업체의 협조가 많이 필요할 것
"자동차 산업의 위기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 시기가 지났을 때 그동안 착실하게 준비하지 못한 기업들은 또 다른 위기를 맞을 것입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를 지금 시작해야 합니다. "
세계적 화학회사인 바스프의 볼프강 합케 아태지역 및 사업개발 총괄 사장의 말이다. 그는 최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와 만나 "지금 빚어지는 위기는 또 다른 기회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경우 현재 벌어지고 있는 글로벌 수요 위축의 직격탄을 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비 효율성이 높은 소형차 위주의 라인업을 잘 갖췄기 때문이라고.
합케 사장은 "현대자동차 등 한국 완성차 업체들은 아시아에서 폴리아미드 등 가벼운 신소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얼리 어답터(남들보다 먼저 신제품을 사서 써보는 사람)"라며 "바스프 입장에서 향후 성장동력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의 42%(연 2900만대)가 아시아지역에서 이뤄지고 있으며,향후에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합케 사장은 "가벼운 차체 중량은 배기가스를 줄이고 연료 효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차체 생산 때 금속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무게가 10% 줄고 연비가 5~7%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중량이 1㎏ 줄어들 때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5.3㎏ 줄어드는 것(자동차 사용기간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바스프는 일반 시트보다 무게가 25% 가벼우면서 복잡한 조립 과정이 필요없는 시트 쉘과 내구성을 강화한 가죽 및 직물 마감용 화학제품을 개발한 상태다.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이 다 어렵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중량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차량을 생산해 소비자의 관심을 되찾아야 합니다. 지금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먹구름이 걷힌 후 도태될 수밖에 없습니다. "
합케 사장은 "바스프는 화학뿐 아니라 의료 등 여러 제품군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산해 놓은 데다 자동차 부품 비중이 전체 매출의 10~15% 수준으로 낮아 경기 침체의 영향을 적게 받는 편"이라며 "경쟁 업체 중 상품 수가 적고 공급처가 제한된 곳은 위기를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제품 포트폴리오가 협소하고,원청업체 수가 적은 부품업체들이 갈수록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그는 "제품 한 가지로 승부하는 부품업체의 경우 특정 산업 또는 기업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합케 사장은 신차 개발 기간이 점차 짧아지고 있으며,이 과정에서 화학업체들의 협조가 많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엔 디자인을 결정하는 순간부터 실제 신차를 생산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평균 48개월 정도였는데,지금은 30개월로 줄었고 2010년엔 18개월로 더욱 단축될 것"이라며 "혁신 소재 개발로 신차 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이뤄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바스프는 플라스틱과 농화학,정밀화학,의료 제품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업체로 작년 매출액이 약 580억유로에 달한다. 한국에서는 울산 여수 군산 등에 총 6개의 생산시설을 가동 중이다. 자동차용 화학제품 공급량만 따지면 세계 1위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