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회계처리 기준을 완화할 경우 어떤 종목이 수혜를 받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대우증권은 "정부가 자산가치의 시가평가와 달러 기준 회계장부 작성 허용 등 회계처리의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증권사 강수연 연구원은 "환차손 피해 기업의 증가를 대응하기 위해 자산재평가를 허용, 연말결산에 반영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며 "과거 구입한 토지와 건물 등 유형자산을 취득원가에서 현재 가치를 반영한 시가로 재평가해 자산증가와 부채비율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달러를 기준으로 한 회계장부 작성을 허용해 외화부채에 시달리는 기업을 구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강 연구원은 전했다. 자산재평가가 달러 기준 회계장부 작성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자산재평가에 따른 수혜종목을 찾을 때는 자산의 취득시기와 보유면적, 지역 등을 반드시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원은 "자산 취득시기가 오래될수록, 수도권에 보유한 토지가 많을수록, 과거 재평가를 한 적이 없는 기업일수록 이번 회계기준 완화의 혜택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과거 재평가 적립금이 없으면서 토지가치가 높은 기업으로 삼성전자, SK에너지, 신세계, 기아차, KT, SK네트웍스, 한진중공업, LG전자,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K브로드밴드, 셀트리온, LG마이크론, 파라다이스, 매일유업 등을 꼽았다.

한화증권도 여러가지 방안 중 자산재평가 도입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봤다. 이는 재평가 여력이 많은 기업, 환손실 기업들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 이준환 연구원은 "구체적으로 환손실 비중과 부채비율이 높은 상장기업이나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려는 키코 손실관련 업체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재평가 규모가 큰 기업으로 한국전력, 롯데칠성, 대성산업, 경방을, 자산재평가가 기대되는 환손실 기업으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SK가스, CJ제일제당을 꼽았다.

한경닷컴 문정현 기자 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