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동대문운동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멸실된 것으로 추정돼온 서울성곽의 기저부가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중원문화재연구원은 서울시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파크' 조성을 추진 중인 옛 동대문운동장 일대를 발굴한 결과 17일 현재 축구장이 있던 자리에서 총 123m의 서울성곽 기저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발굴된 서울성곽은 내벽의 최고 잔존 높이가 4.1m에 바닥 폭은 8~9m 규모다.

또 확인된 성벽 중간에서 성벽 바깥으로 돌출해 만든 방어 시설의 일종인 치성(雉城)과 도성 안의 물을 밖으로 빼내던 이간수문도 확인됐다. 이번에 발굴된 치성은 남북 10.2m,동서 8.3m로 평면은 사각형이다. 문헌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치성이 서울성곽에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동대문에서 광희문까지 4~6개의 치성이 있었을 것"이라며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수 차례 개축된 서울성곽의 시기별 축조 방법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간수문은 낮은 지형을 이용해 축조된 배수용 성벽시설물로 길이 7.4m,잔존높이 5.4m의 두 칸짜리 수문이다. 윗부분의 홍예돌을 제외한 받침돌,바닥석 등 나머지 부분이 완벽하게 남아있다. 수문 방어를 위해 시설물을 꽂았던 목재도 하부에서 발견됐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