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개각 '기정사실'…탕평-親李 선택만 남은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개각을 비롯한 여권 개편에 대해 청와대는 여전히 "그런 계획은 없다"고 선을 긋는다. 개각에 함몰될 경우 자칫 당면 최대 과제인 경제난 극복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여권에선 내년 2월 정권 출범 1주년에 즈음해 개각이 단행될 것이라는 점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벌써부터 여러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다.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 15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동 때 '돌격 내각'을 주문한 바 있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력이 강한 인사들을 과감하게 발탁해야 한다는 논리다. 특히 정치권의 힘이 뒷받침될 수 있고 당·정·청 정책 조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정치인을 중용해야 한다는 뜻이 깔려 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과 최경환 한나라당 수석정조위원장 등이 경제각료 후보로 오르내린다.
친 이명박 세력을 중심으로 강력한 친정체제를 구축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사들을 등용,제대로 호흡을 맞추며 주요 국정과제들을 힘있게 밀어붙이자는 것이다. 그동안 공기업,교육개혁 등 핵심 정책 추진이 지지부진했던 것은 이 대통령과 내각의 간극 때문이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이재오 전 의원의 입각설이 나돌거나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으로 이주호 전 의원이 거명되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을 만들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실장에 앉히자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온다.
탕평·화합 인사론은 친박근혜 진영뿐만 아니라 과거 정권 인사들도 능력이 된다면 이념을 불문하고 기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기 상황을 돌파하려면 각 분야 전문가들의 능력을 활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당 내 화합을 꾀할 수 있고 친이 세력 배치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덜 수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경제는 네 편 내 편 나누지 말고 두루 기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윤증현 전 금감위원장,김석동 전 재경부 차관 등이 오르내리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홍영식/이준혁 기자 yshong@hankyung.com
그러나 여권에선 내년 2월 정권 출범 1주년에 즈음해 개각이 단행될 것이라는 점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벌써부터 여러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다.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 15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동 때 '돌격 내각'을 주문한 바 있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력이 강한 인사들을 과감하게 발탁해야 한다는 논리다. 특히 정치권의 힘이 뒷받침될 수 있고 당·정·청 정책 조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정치인을 중용해야 한다는 뜻이 깔려 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과 최경환 한나라당 수석정조위원장 등이 경제각료 후보로 오르내린다.
친 이명박 세력을 중심으로 강력한 친정체제를 구축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사들을 등용,제대로 호흡을 맞추며 주요 국정과제들을 힘있게 밀어붙이자는 것이다. 그동안 공기업,교육개혁 등 핵심 정책 추진이 지지부진했던 것은 이 대통령과 내각의 간극 때문이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이재오 전 의원의 입각설이 나돌거나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으로 이주호 전 의원이 거명되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을 만들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실장에 앉히자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온다.
탕평·화합 인사론은 친박근혜 진영뿐만 아니라 과거 정권 인사들도 능력이 된다면 이념을 불문하고 기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기 상황을 돌파하려면 각 분야 전문가들의 능력을 활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당 내 화합을 꾀할 수 있고 친이 세력 배치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덜 수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경제는 네 편 내 편 나누지 말고 두루 기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윤증현 전 금감위원장,김석동 전 재경부 차관 등이 오르내리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홍영식/이준혁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