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국민 3명중 1명은 별다른 대책 없이 은퇴 후에도 생활비를 벌어서 쓰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삼성생명 라이프케어연구소가 전국 만 25-59세 남녀 50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은퇴 후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 29%가 새로운 근로소득이라고 답했다.이어 △연금상품 20% △이자.배당소득 14% △국민연금 10% △부동산 임대소득 9% 등의 순이었다.

연구소는 “지난 3분기 가계수지동향에서 세대주가 60세 이상인 노인부부의 근로소득이 38만1000원에 불과했던 현실을 감안하면 은퇴 후 생활비를 번다는 생각은 불안한 노후생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응답자 가운데 연금상품에 가입한 경우는 43% 뿐이고 특히 월소득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은 15%에 그쳐 생활에 시달리느라 상대적으로 준비에 소홀했다.은퇴 예상 시기에 대해선 65세 이후라고 답한 사람이 29%이고 △60∼64세 35% △55∼59세 22%로 대부분 일반 기업의 정년퇴직 연령인 55세 이후에도 일할 것이라고 답했다.

노후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높았다.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55%가 노후준비를 꼽았고 △주택마련 18% △여가.취미 11% △자녀교육 9% 등의 순이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