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종, 정책 모멘텀 '끝'…개별 건설사에 주목해야-대신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설업종, 정책 모멘텀 '끝'…개별 건설사에 주목해야-대신證
대신증권은 22일 규제 완화 등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정책 수단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이제 개별 건설사의 자구노력이 주가 향방을 좌우할 것이란 의견을 내놓았다.
조윤호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국토해양부가 이날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미분양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이는 지난 6월 11일 지방 미분양대책이 발표된 이후 지속돼온 부동산 관련 규제완화의 최종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지방 미분양주택 매입시 양도세 한시 면제와 분양가 상한제 폐지, 강남 3구의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조 애널리스트는 "실수요든 투기수요든 주택 수요자에 대한 대부분의 규제사항이 사라졌다"면서 "이제 정책적인 기반은 대부분 마련된 만큼 개별 건설사의 자구노력을 통해 위험을 감소시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시공순위 10위권 내 대형건설사에 대한 투자매력은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10위권 내 대형사들은 대주단 가입 등을 통해 1년간의 최소 안전장치를 마련한 상황"이라며 "다만 미분양주택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의 위험이 해소된 것이 아니고 수주 감소로 인한 성장성 위축 및 실적 악화 가능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목표수익률은 낮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견건설사는 구조조정 진행과정을 통해 선별적 투자가 가능한 시점까지 투자시기를 지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조윤호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국토해양부가 이날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미분양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이는 지난 6월 11일 지방 미분양대책이 발표된 이후 지속돼온 부동산 관련 규제완화의 최종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지방 미분양주택 매입시 양도세 한시 면제와 분양가 상한제 폐지, 강남 3구의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조 애널리스트는 "실수요든 투기수요든 주택 수요자에 대한 대부분의 규제사항이 사라졌다"면서 "이제 정책적인 기반은 대부분 마련된 만큼 개별 건설사의 자구노력을 통해 위험을 감소시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시공순위 10위권 내 대형건설사에 대한 투자매력은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10위권 내 대형사들은 대주단 가입 등을 통해 1년간의 최소 안전장치를 마련한 상황"이라며 "다만 미분양주택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의 위험이 해소된 것이 아니고 수주 감소로 인한 성장성 위축 및 실적 악화 가능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목표수익률은 낮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견건설사는 구조조정 진행과정을 통해 선별적 투자가 가능한 시점까지 투자시기를 지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