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선정 올해의 유행어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통령 선거가 있었던 해에는 정치 관련 구호 등이 유행하기 마련이다.신용위기로 경제에 대한 관심도 어느 때보다 높았다.뉴욕타임스(NYT)는 21일 사전편찬자인 그랜트 배럿이 뽑은 올해의 유행어를 보도했다.
대선과 관련해선 버락 오바마 당선인의 선거구호였던 ‘change(변화)’가 꼽혔다.워싱턴 정가의 구태를 바뀌서 미국의 자존심을 되찾자는 의지가 함축된 단어이다.오바마의 대통령 출마에 대한 보수층의 혐오감을 반영한 단어로 오바마와 국가를 합성한 ‘Obamanation’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됐다.제롬 코르시가 쓴 책 제목에서 유래된 말이다.공화당 부통령 후보였던 세라 페일린 알래스카 주지사와 연관된 유행어들도 눈에 띄었다.페일린이 자신의 이미지를 빚대 말한 ‘hockey Mom(하키맘)’은 자녀의 운동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미국 어머니들의 일반적인 상을 묘사하고 있다.오바마가 페일린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가 논란이 됐던 ‘lipstick on pig(돼지 입에 립스틱)’,순록 사냥을 좋아하는 페일린을 바비인형에 비교한 별명인 ‘Caribou Barbie(카리부 바비)’도 유행어에 올랐다.어느 당파에 속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중시하는 스타일을 강조하기 위해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매케인을 칭할 때 사용하던 ‘maverick(이단아)’도 정치 세태의 단면을 보여줬다.
경제 관련 유행어로는 ‘naked short-selling(공매도)’,‘TBTF(too big to fail)’등이 주목을 끈다.공매도는 팔 주식을 확보하지 않고 주식을 매도하는 매매 행태를 의미하고 ‘TBTF’는 너무 커서 죽게 놔둘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stag-deflation’은 가격은 떨어지는데 경제가 성장하는 현상을 의미하고, ‘gas-sipper’는 ‘gas-guzzler’의 반대 개념으로 기름 소비가 적은 차를 말한다.고유가 때 유행어로 통했지만 유가가 다시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관심을 덜 받게 됐다.‘Malus’는 회계사들이 60년대부터 보너스와 반대개념으로 써오던 단어로,기업 경영진들이 징계나 임금삭감을 당하는 것을 뜻한다.
이밖에 운전을 하면서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DWT(driving while texting)’나 대기오염이 심각한 중국 베이징을 회색 하늘과 합성시킨 별명인 ‘Greyjing’ 등도 유행어에 올랐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
대선과 관련해선 버락 오바마 당선인의 선거구호였던 ‘change(변화)’가 꼽혔다.워싱턴 정가의 구태를 바뀌서 미국의 자존심을 되찾자는 의지가 함축된 단어이다.오바마의 대통령 출마에 대한 보수층의 혐오감을 반영한 단어로 오바마와 국가를 합성한 ‘Obamanation’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됐다.제롬 코르시가 쓴 책 제목에서 유래된 말이다.공화당 부통령 후보였던 세라 페일린 알래스카 주지사와 연관된 유행어들도 눈에 띄었다.페일린이 자신의 이미지를 빚대 말한 ‘hockey Mom(하키맘)’은 자녀의 운동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미국 어머니들의 일반적인 상을 묘사하고 있다.오바마가 페일린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가 논란이 됐던 ‘lipstick on pig(돼지 입에 립스틱)’,순록 사냥을 좋아하는 페일린을 바비인형에 비교한 별명인 ‘Caribou Barbie(카리부 바비)’도 유행어에 올랐다.어느 당파에 속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중시하는 스타일을 강조하기 위해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매케인을 칭할 때 사용하던 ‘maverick(이단아)’도 정치 세태의 단면을 보여줬다.
경제 관련 유행어로는 ‘naked short-selling(공매도)’,‘TBTF(too big to fail)’등이 주목을 끈다.공매도는 팔 주식을 확보하지 않고 주식을 매도하는 매매 행태를 의미하고 ‘TBTF’는 너무 커서 죽게 놔둘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stag-deflation’은 가격은 떨어지는데 경제가 성장하는 현상을 의미하고, ‘gas-sipper’는 ‘gas-guzzler’의 반대 개념으로 기름 소비가 적은 차를 말한다.고유가 때 유행어로 통했지만 유가가 다시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관심을 덜 받게 됐다.‘Malus’는 회계사들이 60년대부터 보너스와 반대개념으로 써오던 단어로,기업 경영진들이 징계나 임금삭감을 당하는 것을 뜻한다.
이밖에 운전을 하면서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DWT(driving while texting)’나 대기오염이 심각한 중국 베이징을 회색 하늘과 합성시킨 별명인 ‘Greyjing’ 등도 유행어에 올랐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