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자동차 '빅3'업체에 174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지원키로 한 데 이어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자동차 생산국들도 자국업체에 대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영국과 독일은 저리(低利)의 특별융자 및 정부의 지급보증을 검토하고 있고 프랑스와 일본도 업계와 구체적 지원책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요국의 자동차업체 지원은 이미 예상돼 오던 일이다. 이들 국가는 미국이 빅3를 지원할 경우 자국업체의 경쟁력 유지 등을 위해선 자신들도 지원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시사해왔다. 자동차 업체가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이 워낙 큰 데다 고용측면에서도 파급 영향이 엄청난 까닭이다. 사실 각국 정부의 경쟁적 지원은 공급과잉 상태인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을 뒤로 미루는 것이란 점에서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구조조정 문제가 또다시 국제적 핫이슈로 부상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과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지금은 우리 기업들 또한 어렵기 짝이 없다. 현대·기아차가 조업단축·임금동결에 나서는가 하면 월급을 주지 못하는 회사마저 생겨나고 있다. 더구나 완성차업체의 이런 어려움은 수많은 협력업체들까지 벼랑으로 몰아넣고 있는 게 현실이다. 내년 초에는 부품업체들이 무더기 도산 사태를 맞을 것이란 전망마저 나오는 형편 아닌가.

그런 점에서 우리 정부 또한 자동차업체 지원에 적극 나서는 외에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자동차산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전후방 효과를 생각하면 그냥 내버려둘 경우의 부작용은 이만저만 큰 게 아니다. 게다가 다른 나라들이 모두 자국 업체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우리만 이를 외면하는 것은 상대적 불이익을 자초하는 결과로 연결될 뿐이다.

따라서 정부는 자동차업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특히 완성차업체는 물론 부품업체들에까지 돈이 흘러가도록 해 일시적 자금난 때문에 도산(倒産)하는 기업이 없게 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위기가 극복된 이후 벌어질 세계자동차업계의 생존경쟁에서 우리 업체들이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찾아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