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대주주인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차 노조의 구조조정 계획에 대한 거부가 계속되면 파산 절차를 밟겠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최형탁 쌍용차 사장은 23일 국회에서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과 만나 "노조가 사측의 구조조정안을 계속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모회사인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한국에서 철수할 방침"이라며 "이는 쌍용차의 파산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 사장은 "노조 문제로 철수를 결정하면 그 시기는 내년 1월 초ㆍ중순께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쌍용차 경영진이 파산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쌍용차 관계자는 "노조가 중국 경영진의 일괄 사퇴를 주장하고 기술유출 의혹을 계속 제기한 데 따른 것"이라며 "노조가 협조하면 정상적인 경영 활동을 이어 나갈 방침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금속노조 쌍용차 지부는 정면 대응 방침을 천명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의 의도를 확인하고 있다"며 "가만히 앉아서 당하지는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쌍용차의 구조조정과 임금 체불은 상하이차가 1조2000억원을 투자하고 33만대를 생산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기술만 빼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노조는 지난 22일 긴급 대의원대회를 열어 자동차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노조는 곧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내는 한편 추후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총파업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선언했다. 한상균 쌍용차 지부장은 "사측이 이익잉여금을 2000여억원 보유하고 있다면서도 임금 지급을 거부했다"며 "정면 돌파할 것"이라고 밝혔다.
쌍용차는 지난 17일부터 경기 평택,경남 창원 등 모든 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고,유동성 한계 때문에 12월 임금 지급을 잠정 보류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상하이차 고위 간부가 24일 방한해 쌍용차 경영위기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