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영의 자동차 풍향계] 정부에 손 내민 車업계, 자구노력에 더 힘써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세계경제의 화두는 단연 자동차산업이다.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판매 감소가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에 핵폭탄을 떨어뜨리고 있어서다. 각국 정부는 자국의 자동차 산업을 살리기 위해 앞다퉈 링거를 꽂고 있다. 미국 정부는 174억달러를 GM과 크라이슬러에 지원키로 했다. 이를 빌미로 유럽연합(EU)도 개별 자동차회사에 '친환경차 개발' 명목으로 간접 지원에 나섰다. 프랑스는 소비자가 자동차를 살 때 18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상황이 이처럼 급박하게 돌아가자 한국 정부도 국내 자동차 업계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속속 내놓고 있다. 산업 연관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의 위기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나라경제 전체에 엄청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첫 조치가 개별소비세 인하다. 총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해 캐피털사가 발행한 채권을 매입하고,자동차 판매사가 캐피털사를 경유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할부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울보증보험이 자동차할부매출채권에 보증을 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밖에도 부품업체들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정부 지원을 받는 자동차 업계가 어떤 움직임을 보여주느냐다. 미국 정부는 자동차 회사에 돈을 빌려주면서 강력한 자구노력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국민 세금을 투입하는 만큼 방만한 경영을 바로 잡고 노조에 대한 과도한 복지를 줄여야 한다고 못박았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불만을 토로했지만 미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부 지원을 반대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상징적이기는 하지만 GM과 크라이슬러의 최고경영자(CEO)가 스스로 연봉을 1달러만 받겠다고 제시한 것은 의미가 있다. 그만큼 업체 스스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점에서다. 단순히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다고 해서 국민 세금을 개별 기업에 무분별하게 지원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는 게 대다수 미국 국민들의 생각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도 정부 지원 방침 발표에 발맞춰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포하는 등 자구노력에 나서고 있다. 현대ㆍ기아자동차는 최근 혼류생산 등 생산유연화와 생산시간 추가 단축,임금동결 등을 발표했다. 혼류생산은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해,생산시간 단축은 쌓이는 재고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다수의 국민들은 자동차 업계의 고통분담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전히 제 밥그릇 챙기기에 몰두하는 노조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들이 산더미처럼 남아있기 때문이다.
흔히 자동차산업을 전후방산업으로 부른다. 전방에는 철강ㆍ소재ㆍ부품산업이 연관돼 있고 후방에는 금융ㆍ정유ㆍ보험ㆍ정비산업 등이 목을 매고 있다. 그 만큼 자동차산업이 망가지면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 손실을 끼친다. 10년 전 외환위기 때 국산차 업체들이 줄줄이 무너졌던 일을 기억해 보면 한국에서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 쉽게 알 수 있다.
국내 자동차산업이 현재의 위기를 이겨 내려면,아니 현재 상황을 위기로 판단한다면 정부의 선제적 지원도 좋지만 그 전에 자동차 업체 스스로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와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 위기 상황에서 노사는 따로 있지 않다. 내 밥그릇엔 절대 손대지 못하게 해놓고 다른 상 위의 밥을 요구하는 건 파렴치한 생각이다. 이래놓고도 노조가 내년에도 임금투쟁을 하는 어처구니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건 아닌지 우리 국민은 지켜 보고 있다.
강호영 오토타임즈 대표 ssyang@autotimes.co.kr
상황이 이처럼 급박하게 돌아가자 한국 정부도 국내 자동차 업계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속속 내놓고 있다. 산업 연관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의 위기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나라경제 전체에 엄청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첫 조치가 개별소비세 인하다. 총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해 캐피털사가 발행한 채권을 매입하고,자동차 판매사가 캐피털사를 경유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할부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울보증보험이 자동차할부매출채권에 보증을 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밖에도 부품업체들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정부 지원을 받는 자동차 업계가 어떤 움직임을 보여주느냐다. 미국 정부는 자동차 회사에 돈을 빌려주면서 강력한 자구노력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국민 세금을 투입하는 만큼 방만한 경영을 바로 잡고 노조에 대한 과도한 복지를 줄여야 한다고 못박았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불만을 토로했지만 미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부 지원을 반대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상징적이기는 하지만 GM과 크라이슬러의 최고경영자(CEO)가 스스로 연봉을 1달러만 받겠다고 제시한 것은 의미가 있다. 그만큼 업체 스스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점에서다. 단순히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다고 해서 국민 세금을 개별 기업에 무분별하게 지원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는 게 대다수 미국 국민들의 생각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도 정부 지원 방침 발표에 발맞춰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포하는 등 자구노력에 나서고 있다. 현대ㆍ기아자동차는 최근 혼류생산 등 생산유연화와 생산시간 추가 단축,임금동결 등을 발표했다. 혼류생산은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해,생산시간 단축은 쌓이는 재고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다수의 국민들은 자동차 업계의 고통분담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전히 제 밥그릇 챙기기에 몰두하는 노조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들이 산더미처럼 남아있기 때문이다.
흔히 자동차산업을 전후방산업으로 부른다. 전방에는 철강ㆍ소재ㆍ부품산업이 연관돼 있고 후방에는 금융ㆍ정유ㆍ보험ㆍ정비산업 등이 목을 매고 있다. 그 만큼 자동차산업이 망가지면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 손실을 끼친다. 10년 전 외환위기 때 국산차 업체들이 줄줄이 무너졌던 일을 기억해 보면 한국에서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 쉽게 알 수 있다.
국내 자동차산업이 현재의 위기를 이겨 내려면,아니 현재 상황을 위기로 판단한다면 정부의 선제적 지원도 좋지만 그 전에 자동차 업체 스스로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와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 위기 상황에서 노사는 따로 있지 않다. 내 밥그릇엔 절대 손대지 못하게 해놓고 다른 상 위의 밥을 요구하는 건 파렴치한 생각이다. 이래놓고도 노조가 내년에도 임금투쟁을 하는 어처구니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건 아닌지 우리 국민은 지켜 보고 있다.
강호영 오토타임즈 대표 ssyang@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