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대학들이 논문 표절과 실험결과 조작 등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윤리 활동’에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5일 발표한 ‘2008 연구윤리 활동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4년제 대학 136곳 가운데 연구윤리 관련사항을 심의하는 ‘연구윤리위원회’를 설치한 대학은 103곳으로 전체의 75.7%에 달했다.또 연구윤리와 관련해 헌장·강령·규정·지침 등 제반 규정을 마련한 곳은 97곳(71.3%)에 달했다.이는 조사대상 가운데 89.7%(26곳)가 연구윤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제반규정을 마련한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비해 비율면에서 낮은 수준이다.

연구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윤리교육의 경우 정부출연연구기관은 86.2%가 자체 교육을 실시하는 반면 대학은 43.4%만 교육을 실시하는데 그쳤다.특히 연구과정을 기록하는 연구노트 관리 규정을 마련한 대학은 14곳(10.3%)에 불과했다.교과부 관계자는 “연구노트 관리는 지적재산권 분쟁,연구부정행위 예방 등을 위해 중요한 사항이지만 관리 필요성에 대한 대학들의 인식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학자 및 교수들의 모임으로 분야별로 권위를 인정받는 각종 학회의 연구윤리 활동도 저조한 편이다.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되는 학술지를 발행하는 국내 학회 616곳 가운데 윤리위원회를 설치한 곳은 63.3%,윤리규정을 마련한 곳은 85.4%,자체 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21.9%인 것으로 나타냈다.

이번 조사는 국내 연구윤리 인프라 구축 및 인식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2006년에 이어 두번째로 실시됐다.국내 4년제 대학 257곳,학회 1486곳,정부출연 연구기관 36개 기관을 대상으로 했으나 대학 121곳,학회 870곳,정부출연 연구기관 7곳은 아예 응답하지 않았다.

교과부 관계자는 “연구윤리위원회 설치 대학이 2006년 12.8%에서 이번에 75.7%로,규정 제정 대학이 15.7%에서 71.3%,자체 교육 실시 대학이 3.7%에서 43.4% 등으로 호전됐지만 연구윤리 전문가 양성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연구부정행위 세부 판정 기준 마련 등 개선과제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