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디플레공포에도 공공요금 올리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해 벽두부터 기름값이오르고 일부 공공(公共)요금 인상도 예정돼 있어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한층 어려워지는 가운데 생활 물가까지 자극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지난 3월 유가상승에 따른 임시조치로 내렸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올 연말로 끝남에 따라 운송 연료비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휘발유가 ℓ당 83원 오르는 것을 비롯해 경유와 LPG 등도 소폭 오른다. 국제유가가 그만큼 떨어지지 않는 한 소비자들의 추가부담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자체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상ㆍ하수도와 택시 요금 인상을 예정해놓고 있거나 검토중인 곳이 적지 않다. 이런 가운데 전기와 가스 요금까지 적지않은 인상요인이 있어 해당 공기업과 정부가 인상 여부를 놓고 고심중이라고 한다. 경제가 전반적으로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들어선 와중에 공공요금의 인상 소식이 정상적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막상 인상내역을 따지고 보면 나름대로 이런저런 사정들이 있다는 점이 우리 모두의 고민이다. 전기나 가스만 해도 명확한 인상요인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요금을 동결하면 언젠가는 정부 재정에서 손실분을 메워줘야 하는 만큼 결국은 국민부담으로 돌아가기는 마찬가지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 서민가계와 중소기업의 사정은 당장 하루하루가 급하다. 고통 분담의 차원에서라도 지자체든,공기업이든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하는 방안을 모색하지 않을수 없다. 이미 다각도로 실천하고는 있겠지만,기존의 경영합리화 노력에 허리띠를 더 졸라매고 원가절감에도 더욱 정성을 쏟아보자는 얘기다. 그렇게 최대한 자체 노력으로 해소해나가되 그래도 안될 사정이라면 점진적인 인상 등으로 서민 소비층의 충격이 최소화되게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디플레이션 국면에 들어서면서 적어도 지금은 전체적으로 물가걱정을 해야하는 상황은 아니다. 그러나 서민들의 일상 생활물가는 곳곳에서 불안요인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공공요금 외에 학원비 등 교육비가 대표적이다.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근래 대폭 내린 만큼 식품류처럼 상반기 고유가 때 폭등(暴騰)했던 서민 생필품 가격이 자연스럽게 내리도록 유도해나갈 필요도 있다.
지자체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상ㆍ하수도와 택시 요금 인상을 예정해놓고 있거나 검토중인 곳이 적지 않다. 이런 가운데 전기와 가스 요금까지 적지않은 인상요인이 있어 해당 공기업과 정부가 인상 여부를 놓고 고심중이라고 한다. 경제가 전반적으로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들어선 와중에 공공요금의 인상 소식이 정상적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막상 인상내역을 따지고 보면 나름대로 이런저런 사정들이 있다는 점이 우리 모두의 고민이다. 전기나 가스만 해도 명확한 인상요인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요금을 동결하면 언젠가는 정부 재정에서 손실분을 메워줘야 하는 만큼 결국은 국민부담으로 돌아가기는 마찬가지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 서민가계와 중소기업의 사정은 당장 하루하루가 급하다. 고통 분담의 차원에서라도 지자체든,공기업이든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하는 방안을 모색하지 않을수 없다. 이미 다각도로 실천하고는 있겠지만,기존의 경영합리화 노력에 허리띠를 더 졸라매고 원가절감에도 더욱 정성을 쏟아보자는 얘기다. 그렇게 최대한 자체 노력으로 해소해나가되 그래도 안될 사정이라면 점진적인 인상 등으로 서민 소비층의 충격이 최소화되게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디플레이션 국면에 들어서면서 적어도 지금은 전체적으로 물가걱정을 해야하는 상황은 아니다. 그러나 서민들의 일상 생활물가는 곳곳에서 불안요인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공공요금 외에 학원비 등 교육비가 대표적이다.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근래 대폭 내린 만큼 식품류처럼 상반기 고유가 때 폭등(暴騰)했던 서민 생필품 가격이 자연스럽게 내리도록 유도해나갈 필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