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고열부사시험시설 콜트-1 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대향부품(對向部品)’의 고열부하 시험시설인 ‘콜트-1(KoHLT; Korea Heat Load Test Facility)’을 구축해 가동한다고 30일 밝혔다.‘플라즈마 대향부품’이란 핵융합로에서 플라즈마와 가장 인접하게 되는 블랑켓 일차벽의 벽면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으로 흑연,베릴륨 등으로 제작된다.
블랑켓 일차벽은 핵융합로 내부에서 섭씨 1억도 이상의 플라즈마와 가장 근접해 지속적으로 고열부하를 받는다.따라서 고열부하에 강한 플라즈마 대향부품의 사용 여하에 따라 핵융합로의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콜트-1’은 이러한 플라즈마 대향부품의 내구성,건전성,냉각능력 등을 검증하는 시설이다.유럽연합의 BESTH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구축된 콜트-1은 BESTH에 비해 시험시간을 40%이상 단축시켰으며 BESTH 보다 더 가혹한 시험조건 하에서 구동이 가능해 성능이나 효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콜트-1은 향후 KSTAR 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대향부품 개발을 위한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라며 “차세대 원자로 및 기계,항공,우주,국방 분야의 내열부품,신재료 개발에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블랑켓 일차벽은 핵융합로 내부에서 섭씨 1억도 이상의 플라즈마와 가장 근접해 지속적으로 고열부하를 받는다.따라서 고열부하에 강한 플라즈마 대향부품의 사용 여하에 따라 핵융합로의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콜트-1’은 이러한 플라즈마 대향부품의 내구성,건전성,냉각능력 등을 검증하는 시설이다.유럽연합의 BESTH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구축된 콜트-1은 BESTH에 비해 시험시간을 40%이상 단축시켰으며 BESTH 보다 더 가혹한 시험조건 하에서 구동이 가능해 성능이나 효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콜트-1은 향후 KSTAR 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대향부품 개발을 위한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라며 “차세대 원자로 및 기계,항공,우주,국방 분야의 내열부품,신재료 개발에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